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24.02.06

별과 별과 사이의 거리나 여러 은하의 거리측정은 무슨 방법으로 활용하는건가요?

우주에는 많은 별이 있으며 은하와 은하의 거리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별과 별사이의 거리나 은하와 은하의 거리는 어떤 측정기술을 활용하여 거리를 추정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별과 은하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서 기쁩니다. 별과 별 사이의 거리는 삼각측량 방법을 통해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지구에서 별을 관측하고 지구의 위치를 바꾸어 별의 위치를 다시 관측하여 삼각형을 만들어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정확한 거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은하와 은하의 거리는 적색 이동(Redshift)을 통해 추정할 수 있습니다. 적색 이동은 빛의 파장이 늘어나는 현상으로 빛이 늘어나는 정도를 측정하여 은하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은하의 속도와 거리 사이에 존재하는 허블 상수를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측정 방법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빛의 강도를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더 정확한 거리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별과 은하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정확한 방법은 삼각측량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지구의 위치에 따라 측정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별과 별 사이의 거리는 주로 삼각측량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이 방법은 지구의 위치에서 별을 관측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관측한 별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삼각법을 이용해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은하의 거리는 천문학적 거리 계측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이 방법에는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적색편이법, 초신성 폭발 등을 이용한 표준 등광체법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별과 별, 은하와 은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우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패럴랙스 측정법: 지구 상에서 두 지점에서 같은 별을 관측하여 위치 차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가까운 별에만 적용 가능합니다.

    밝기 측정법: 별의 절대 밝기와 겉보기 밝기를 비교하여 거리를 계산합니다. 절대 밝기는 별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겉보기 밝기는 거리에 따라 감소합니다.

    허블의 법칙: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더 빠르게 멀어지고 빛이 적색편이됩니다. 적색편이의 정도를 측정하여 은하까지의 거리를 계산합니다.

    이 외에도 성단 거리 측정법, 영년시차 측정법, 통계 시차 측정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각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른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표준촛불' 이라는 고유밝기를 알고 있는 천체를 이용하는 것인데 표준촛불은 고유 밝기를 알고 있는 천체입니다. 겉보기 밝기가 고유 밝기보다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해 어두워지는 물리적 원리를 이용해 매우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인형 과학전문가 입니다.

    별과 은하의 거리를 재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연주시차측정방법, 성단거리측정방법, 영년시차측정방법 등 이외에도 수십가지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서 천체 간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연주 시차 측정 방법이나 성단 거리 측정법, 영년시차 측정법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연주 시차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며 이는 별자리의 각도 차이입니다.

    지구에서 관측되는 최대 시차의 절반인데, 지구는 1년동안 태양을 공전하기 때문에, 계절마다 별자리가 다른 각도로 보입니다. 앞서 말쓴드린대로 이러한 각도 차이가 바로 연주시차입니다.

    실제로 측정할 때는 동일 장소에서 6개월 간격으로 두번 각을 측정하여 계산하게 되는데, 이 연주시차를 알아내게 되면, 지구와 태양까지의 거리를 이용, 삼각함수를 이용해서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