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ASDXC
ASDXC

조선3대왕 태종이 정권을 잡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조선시대 3대왕 태종인데요 태종같은 경우에는 이성계의 5번째 왕자

였는데요 그런데 위 형들을 제치고 조선의 3번째 왕이 되었는데

이방원 같은 경우에 어떤 계기로 해서 왕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이방원은 비록 서열에서 밀린 왕자였지만 더 어린 동생이 세자가 됨에 대한 반발로 1차,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세자였던 동생을 죽이고 둘째 형 방간을 왕으로 추대하게 되죠. 그러나 왕이된 정종은 왕위에 대한 욕심이 없었을 뿐더러 이방원에 대한 문제가 있으므로 이후 이방원을 동생이지만 세자로 삼아 결국 이방원이 태종이 되게 됩니다.

    1명 평가
  • 조선 3대 국왕 태종이 정권을 잡게된 결정적인 것은 우선 아버지 이성계가 1388년 위화도 회군 이후 1392년 조선을 건국하는 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특히 정몽주를 제거하는데 기여했습니다. 그리고 건국 초 2차례의 왕자의 난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였습니다. 태종은 1398년 1차 왕자의 난으로 정도전과 방번, 방석을 제거하였으며, 1400년 2차 왕자의 난을 계기로 방간을 제거하며 권력 기반을 굳혔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