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은 왜 행성에서 제외가 되었나요?
옛날 명왕성은 태양계의 행성이였고 맨 끝에 있었던 행성이였습니다. 그런데 왜 명왕성은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를 시켰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에서 행성의 정의가 재정립되면서, 명왕성은 행성이 아닌 "왜행성(dwarf planet)"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IAU에서는 행성을 다음과 같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고 정의하였습니다. - 항성 주변에서 공전하고 있다. 
- 자신의 중력으로 둥글게 형성되었다. 
- 주변을 정리하여 주위의 작은 천체들을 도넛형태로 묶어냈다. 
 - 명왕성은 1, 2번 조건은 만족하지만, 3번 조건에서 부적격으로 판정되었습니다. 명왕성 주변에는 수많은 작은 천체들이 많이 분포해 있으며, 이 중 일부 천체들이 명왕성의 궤도와 겹치기 때문에 명왕성이 주위를 정리하지 못합니다. - 이러한 이유로 명왕성은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왜행성으로서의 중요성도 높아서 왜행성에 대한 연구와 탐사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 명왕성의 지위를 위해 행성의 개념을 모호하게 두면 추후에 큰 문제가 일어날 것을 염려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행성의 개념이 재정립되면서 명왕성은 왜행성으로 강등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 명왕성보다 큰 천체인 UB313 즉 에리스를 발견하면서 명왕성의 태양계 행성 자격 논란이 시작되었습니다. - 국제천문연맹은 태양계 행성의 자격을 '태양의 주위를 돌아야 하고, 충분한 질량을 가져 자체 중력으로 타원이 아닌 구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천체이어야 한다.'고 새로 규정했습니다. 이 기준에 따라 2006년 8월 24일, 명왕성은 태양 주위를 돌고 구형인 천체지만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천체여서 결국 태양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명왕성의 공전 궤도가 크게 찌그러져 있어 해왕성의 공전 궤도를 침범하고, 해왕성은 명왕성을 무시할만한 크기와 질량을 갖추고 있지만, 명왕성은 해왕성을 무시할 수가 없기에 명왕성은 행성의 기준을 만족시킬 수가 없었던 것이죠. - 현재 명왕성은 태양계 왜행성으로 분류가 바뀌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서 명왕성은 왜소행성으로 재분류 되었습니다. - 이 결정은 주로 태양계 바깥쪽에서 명왕성과 크기와 성분이 비슷한 다른 천체들을 발견했기 때문에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