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시장을 노린 SD chain, IoT chain은 왜 PBFT를 사용하나요?
얼마전 IoT 관련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조사하던 중 "SD chain"과 "IoT chain" 을 찾게 되었습니다.
두 프로젝트 모두 SDFT알고리즘을 사용하며 SDFT는 RAFT 알고리즘과 PBFT 알고리즘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알고리즘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궁금한건 RAFT는 이해가 가는데 PBFT를 왜 사용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IoT 분야에서 통신에 사용되는 노드 수는 분명 어마어마할텐데 PBFT의 경우 노드가 증가하면 통신량이 증가하게 되어 처리량이 저하되어 최적의 통신 기준이 겨우 수십개의 노드가 한계라고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PBFT가 IoT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과연 이득이 될지 궁금합니다!
- 질문자께서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을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만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비잔틴 장애 허용 알고리즘의 경우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노드의 수가 증가하는 만큼 합의에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여 거래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확장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이것을 보완하는 것이 Raft 알고리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Raft 알고리즘을 통해 모든 노드가 합의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거래와 관련이 있는 노드와 해당 거래를 검증할 소수의 노드만 합의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소수의 노드들이 전체 노드를 대표하여 비잔틴 장애 허용 알고리즘에 따라 3분의 2이상의 합의를 도출할 수 있게 되므로 PBFT의 확장성 문제가 해결된다고 생각합니다. 즉, RAFT와 PBFT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