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 가운데에서 먹으면 환각 작용이 있는 버섯이 있는데, 왜 그런 버섯이 생긴 걸까요?
버섯 중에는 광대버섯과 같이 사람이 먹으면 환각 작용을 일으키는 버섯이 많이 있는데요, 이런 버섯은 왜 이런 환각 작용을 일으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버섯 가운데 일부 종, 예를 들어 광대버섯이나 환각 버섯 같은 것들은 사람이 섭취했을 때 환각, 지각 왜곡, 기분 변화 등을 유발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데요 이보텐산, 무시몰, 실로시빈이나 실로신 같은 성분입니다. 이와 같은 작용은 버섯의 일종의 생존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환각 물질은 사실상 신경독의 일종인데요, 동물이 이런 버섯을 먹었을 때, 신경계가 교란되면서 정상적인 행동을 하기 어렵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즉 환각, 방향 감각 상실, 불쾌한 경험 등을 일으켜 다시는 그 버섯을 먹지 않게 만들어서 버섯을 보호하는 화학적 무기인 셈입니다.
또한 버섯은 진화 과정에서 다양한 2차 대사산물을 만들어내는데요, 이 물질들은 생존에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환경에서 다른 생물과 경쟁하거나 방어할 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중 일부가 동물 신경계의 특정 수용체에 작용하여 환각 효과를 일으키는 것이며 즉, 우연히 신경계에 강한 영향을 주는 물질이 생겼고, 이것이 포식자 회피에 유리했기에 유지된 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환각성분을 가진 버섯은 주로 알칼로이드 계열 2차 대사산물을 만들어내기 떄문입니다.
이는 버섯이 동물이나 곤충들에게 먹히는것을 막기위한 방어전략입니다.
주로 뇌 신경전달물질로써 작용해서 환각을 일으키고, 포식자를 도망가도록 만드는 화학적인 무기로 진화한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특정 화학 물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물질들은 사람의 뇌에 있는 신경전달물질과 매우 유사하여 뇌의 정상적인 기능을 교란하게 되죠.
대표적인 예로 실로시빈과 무스시몰이 있습니다.
실로시빈은 행복감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 수용체에 결합해 환각을 유발하고, 광대버섯에 있는 무스시몰은 신경 활동을 억제하는 GABA 수용체에 작용해 혼란과 환각 증상을 일으킵니다.
이런 독성 물질들은 버섯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진화시킨 일종의 방어 기제입니다.
버섯을 먹은 동물들이 환각 또는 고통을 경험을 하고 다시는 그 버섯을 먹지 않게 만들어 생존율을 높이는 전략이죠. 결국 버섯의 환각 작용은 버섯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생존 방식인 셈입니다.
환각 버섯이 환각 작용을 일으키는 이유는 자신을 먹는 곤충을 퇴치하기 위한 생존 전략의 일환으로 실로시빈과 같은 특정 화학 물질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물질은 곤충의 식욕을 억제하고 번식을 방해하여 버섯이 포식자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생존 및 번식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인간이 이 버섯을 섭취하면 실로시빈이 뇌의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하여 환각을 비롯한 다양한 심리적, 감각적 변화를 유발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