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똥별은 왜 그런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나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운석이 떨어지는 것을 별똥별이 떨어진다고 표현하잖아요?
왜 그렇게 표현하게 된 것인지, 그렇게 불리우게 된 근거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밤하늘의 별똥별
유성이란 흔히 말하는 별똥별을 뜻한다. 이 유성은 혜성,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 또는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 등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대기와의 마찰로 불타는 현상을 말한다. 하루 동안 지구 전체에 떨어지는 유성 가운데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수없이 많으며, 유성이 빛을 발하는 시간은 1/수십 초에서 수 초 사이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성 - 밤하늘의 별똥별 (지구과학산책)
유성은 우주의 먼지가 대기로 들어오면서 마찰로 불타는 현상
유성체란 행성 사이의 우주 공간을 떠돌아다니는 소행성보다 많이 작고, 원자나 분자보다는 훨씬 큰 천체를 말한다. 하지만 커다란 유성체는 작은 소행성 크기 정도로 둘을 구분하는 명확한 경계는 없다. 혜성에 기원을 둔 유성체의 밀도는 약 0.3g/cm³이나, 쌍둥이자리 유성우처럼 소행성에 기원을 둔 것으로 생각되는 유성우의 유성체 밀도는 약 2g/cm³로 높다. 유성체 자체가 밀도가높아 단단하면 다른 유성들에 비해 긴 흔적을 남긴다.
유성체는 보통 약 100km 상공(지구 상층대기)에서 빛을 내기 시작하며, 그 속도는 11km/s에서 72km/s에 이르기까지 큰 폭을 갖는다. 유성체는 크기가 작지만 운동 에너지는 대단히 커서 대기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금방 타버리며, 크기가 클수록 밝고 상대적으로 오래 보이고, 작은 크기면 약하게 잠깐 빛을 내기도 한다.
하늘에 있는 별이긴 하지만 하늘에서 땅으로 떨어지니까,,
이런 모습이 별이 똥을 싸서 생긴 찌거기가 땅으로 떨어지는 것이라 생각해 이런 별칭이 붙은 것 같아요,,^^;;1
하늘에서 땅으로 흘러 내리는 별이라서 유성이라고 하는 것도 이 때문이래요,,
그리고 별똥별은 유성우라고도 불러요-
더이상은 몰라서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