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교복자율화 시기는 언제였고 왜 그랬나요?
한때는 중고등학교 교복을 입지 않고 사복을 입던 시기가 있었다고 들었어요. 즉 교복 자율화를 의미하는데요. 이건 언제이고 왜 그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우리나라에서 교복 자율화는 1983년에 이루어졌고 1986년에 들어서 교복 두발 자율화에 있어서 학교장 재량으로 넘어갔고 그 이후부터 교복을 다시 착용하는 학교가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입니다.문의하신 질문에 답변 드립니다.
교복자율화(校服自律化)는 1983년 당시 문교부(현 교육부)가 중고등학생들이 교복 대신 자유롭고 간편한 복장을 할 수 있도록 한 제도를 말한다.
두발 자율화(1982년)와 함께 시행되었습니다.자율화 이전에는 서울, 지방 구분없이 전국의 모든 중·고등학교가 동일한 디자인 (남자는 가쿠란, 여자는 세일러복 형태)의 교복을 입었으나, 학생 개개인의 개성과 자율성을 무시한다는 지적과 일제의 잔재 청산을 위한다는 목적으로 1982년 한 주에 한 번 (주로 토요일) 사복을 입을 수 있도록 조치하였으며, 1983년에는 교복을 입을 필요가 없도록 완전자율화를 시행하였다. 책가방의 모양도 자율화되었습니다
교복 자율화는 1983년 당시 문교부(현 교육부)가 중고등학생들이 교복 대신 자유롭고 간편한 복장을 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두발 자율화(1982년)와 함께 시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