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스프링클러로만 물이 가는 것을 차단하고 옥내소화전으로 물을 보내는 방법?
고층건물에 불이 난 경우 스프링클러가 작동해서 물을 다 쓴 경우 연결송수관으로 소방차의 물을 올려보내는데 만약 이 물을 블이 난 층의 옥내소화전으로만 보내야 할 경우 관리자들은 어떤 밸브를 조작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스프링클러가 작동하고 연결송수관으로 소방차 물을 끌어올릴 때, 만약 화재가 난 층의 스프링클러 급수를 차단하고 옥내소화전으로만 물을 집중 공급하고 싶다면 관리자는 해당 층의 스프링클러 설비를 제어하는 밸브를 조작해야 합니다.
이때 조작해야 할 주요 밸브는 각 층이나 구역별로 설치된 '층별 제어 밸브' 또는 '구역 제어 밸브'입니다. 이 밸브는 해당 층의 스프링클러 배관으로 물이 들어가기 직전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통 계단실 근처 등 접근하기 쉬운 곳에 위치합니다. 관리자는 화재가 발생한 층으로 가서 해당 층의 층별 제어 밸브를 닫으면, 스프링클러 헤드로는 더 이상 물이 가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동일한 주 배관에 연결된 옥내소화전으로는 계속 물이 공급됩니다.
다만, 화재 상황에서 밸브를 조작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므로 반드시 소방 안전 관리자 등 교육받은 인원이 안전 확보 후에 진행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 도착한 소방대원과 협력하여 지시에 따르는 것입니다. 스프링클러는 초기 진압에 중요하므로 이를 멈추는 결정은 신중해야 하며, 소방대원과 협의 후 이루어져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고층 건물이던 아니던 보통은 외부 연결송수관과 건물 내부 옥내소화전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스프링쿨러전용 송수관도 있더군요. 소방차에서 물을 공급하는 경우는 거의 옥내소화전으로 소방용수를 보낸다고 보면 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