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이 없는 사람도 부정맥이 있으면 뇌졸중에 걸릴 수 있나요?
부정맥이 생긴지는 15년전에 시작이 되었고 요즘 들어서 자주 나타납니다. 다음주에 순환기내과 진료예정인데
심장에 문제가 있어서 걱정입니다. 부정맥이 뇌졸중에 걸리는 종류가 있다고 하던데 부정맥도 종류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부정맥이 뇌졸중에 걸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부정맥이 있는 경우 뇌졸중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부정맥은 심장의 불규칙한 박동을 의미하며,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심방세동이라는 형태의 부정맥이 뇌졸중과 관련이 깊습니다. 심방세동은 심방이 불규칙하게 떨리는 상태로, 이로 인해 혈액이 신속히 순환하지 못하고 심방에 고이게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심방 내에서 혈전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 혈전이 혈류를 통해 뇌혈관으로 이동하게 된다면 뇌졸중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위험 요인이 없더라도 이러한 부정맥으로 인해 뇌졸중의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부정맥이 15년 전에 시작되었고 최근 빈도가 증가했다면, 의사를 방문해 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주에 순환기내과를 방문하신다고 하셨으니 그곳에서 전문의를 통해 현재 상태를 자세히 진단받고, 필요한 치료를 계획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부정맥의 유형에 따라 뇌졸중의 위험은 다를 수 있으며, 전문의가 검사 및 상담을 통해 질문자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부정맥 치료를 통해 뇌졸중의 위험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와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만성 질환들은 뇌졸중의 위험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에 해당 질병들이 있으면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맞습니다. 부정맥 또한 심실세동 등이 있을 경우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이는 고혈압 등 다른 질병이 있는 것과는 무관합니다. 기저질환이 전혀 없어도 뇌졸중이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48세 여성분으로 부정맥이 15년 전에 시작되었고, 최근에 더 자주 나타난다고 하니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이 없더라도 특정 유형의 부정맥, 특히 심방세동이 있는 경우 뇌졸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심방세동은 심방이 불규칙하게 수축하면서 혈액이 제대로 흐르지 못하고 심방 내에 혈전이 생길 위험을 높입니다.
이 혈전이 혈류를 타고 뇌로 이동하여 뇌혈관을 막으면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정맥의 정확한 종류와 심장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순환기내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중요하며,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검사와 치료 계획을 세우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음 주 진료에서 궁금한 점들을 자세히 질문하시고, 불안감을 해소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