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처음부터날렵한벨로시랩터
처음부터날렵한벨로시랩터

지출계획을 세워야 하는데 기준을 모르겠어요

프리랜서 라서 수입이 들쭉날쭉 하는데 지출계획을 무슨 기준으로 세워야 할까요?

많은 달은 500정도고 적은달은 150정도 ..

너무 어렵네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프리랜서에게 맞는 지출 관리 전략으로 가장 중요한 기준은 바로 수입이 가장 적은 달(150만원)을 기준으로 삼아 고정 지출(주거비, 통신비, 보험료 등)을 커버하는 '최소 지출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입이 많은 달(500만원)에는 늘어난 수입을 바로 지출하기보다는, 이 중 상당 부분을 비상금이나 저축, 투자에 우선적으로 할당하여 수입이 적은 달을 대비하는 재정적 완충지대(버퍼)를 마련해야 해요. 모든 수입과 지출 내역을 꼼꼼히 기록하며 가계부를 작성(필수는 아니지만 고정적으로 나가는 항목들은 기록)해서 돈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출 계획은 평상시 나가는 고정비를 우선 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해당 고정비를 기준으로 추가적인 지출 예상을 생각해보고 여유분을 산정하여 지출 계획을 잡아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지출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무조건 들어가는 고정 비용을 산출하시고

    나머지 변동 비용을 산출하시면

    지출 계획을 세우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프리랜서의 들쭉날쭉한 수입에는 최저 수입인 150만원을 기준으로 고정 지출 계획을 세우고, 나머지 수입은 비상금 및 저축으로 돌리는 것이 안전합니다. 수입이 많은 달(500만원)의 초과분은 저축 및 투자하고, 이 중 일부는 미래 지출 예비비로 따로 모아 수입이 적은 달의 부족분을 보충하는 유동적인 계획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프리랜서 수입이 가장 적은 달의 금액 150만원을 기준 수입으로 설정하고, 모든 지출은 이 범위 내에서 통제하는 기준 지출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수입이 많은 달에는 세금/경비를 떼어낸 후, 기준 지출 외의 초과분은 최소 3개월에서 6개월까지의 생활비를 저축이나 투자로 배분하여 수입의 불규칙성을 대비하고 자산의 증식하는 것이 좋은 방법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출계획이라 함은 

    고정비와 변동비가 있습니다

    저축도 하고 계신다고 가정하면

    저축또한 고정비로 분류하시고

    한달에 나가는 고정비를 제한 나머지 금액을 변동비로 놓고 고정비에서 줄일수 있는 금액을 최대한 줄여놓는게 좋습니다

    변동비는 말그대로 변동비이기때문에 예상치 못하기 때문에 줄이지는 못합니다 

    고정비를 줄여놓고 저축도 일정 부분 돌려놓고 남은 금액으로 생활하시는 습관을 기르셔야할거같습니다

    저축과 고정비 제하고 변동비도 제했을때 금액이 남으면 시중에 나와있는 파킹통장 같은 그나마 고이율 통장을 개설하여 이체 해두면 그로 인한 이자수익도 쏠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