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살정도 애착단계에 주의할점?
1살정도된 아이와 애착이 형성되었을때 부모로서 주의해야할 점은 뭐가 있나요? 아이가 울거나 부모를 찾을때마다 바로바로 달래주는 것이 좋나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입니다.
부모의 목소리 자주 들려주는것이 좋으며
자주 안아주거나 하면서 따뜻한 애착을 형성하도록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소리지르거나 화를 내는 말을 해주는것은 좋지 않습나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울거나 부모를 찾을 때마다 바로 달래주는 것이 좋으냐에 대해 많이 고민하시는데, 기본적으로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안정적인 애착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불안할 때 부모가 빠르게 반응해주면 아이는 부모를 신뢰하게 되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더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특히 1살 무렵에는 세상을 탐색하는 동시에 여전히 부모의 보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아이가 불안함을 느낄 때 적절히 반응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은 과잉 반응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입니다. 즉, 아이가 항상 부모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에도 부모가 지나치게 개입하면 오히려 아이의 자율성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작은 어려움은 혼자 해결할 기회를 주고, 부모가 필요할 때는 곧바로 반응하는 균형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살이라면 아이가 애착 형성이 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불안해하거나 울거나 그런다면
부모님이 직접 안아주시고 스킨쉽을 통하여 불안감을 해소하시고
유대감을 강화해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보통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울고는 합니다 ^^
1. 배고플때
2.배변활동을 했을 때
3.몸에 이상신호가 있을 때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이런 상황에서 아이 울음의 원인을 소거해주시는 노력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애착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자주 안아주고 스킨쉽을 많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의 냄새와 목소리 등을 아이가 인지할 수 있도록
다정다감한 육성으로 많은 말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특별히 주의할것보다
아이가 울거나 무언가 필요할때 잘들어주는것이 도움이될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글의 내용처럼 울거나, 찾을 때 바로 달래주는 게 애착 형성이 더 잘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