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수려한콰가118
수려한콰가11823.03.19

지구 온난화가 지속된다면 바닷물도 줄어들까요?

지구의 온도가 과거에 비해 많이 상승하고 있어 물부족 사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구의 온도가 계속 상승한다면 바닷물도 줄어들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9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로 떨어지는 혜성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아이디어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1. 혜성을 발견하고 조기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혜성의 궤도와 운동 경로를 정확히 파악하여 충돌 위험성이 높은 경우에는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혜성을 막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현재는 혜성이 지구 대기에 진입하기 전에 미사일이나 로켓 등으로 공격하여 파편화시키는 방식이 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 방식은 혜성의 질량을 줄여 충돌 위험을 낮추는 것이 목적입니다.

    3. 미래에는 혜성을 우주에서 발견하여 지구로 올 때마다 미리 대처할 수 있는 우주 기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우주 개발 기술의 발전과 우주 탐사의 확대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는 바다수면의 상승을 일으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으로 인해 빙하 및 빙산의 녹음으로 인한 물의 부피 증가와, 해수면이 확장되는 열팽창의 결과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지구 온난화가 바다수면을 상승시키는 영향을 미칩니다.

    바다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 지역이 침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다수면의 상승이 바닷물의 양 자체를 감소시키지는 않습니다. 바닷물은 지구상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염분과 물로 이루어진 용액으로, 지구상의 바다 수면은 대체로 일정한 양의 염분이 녹아있는 물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바다수면의 상승은 바닷물의 총량을 줄이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녹기 때문에 해수면은 오히려 올라가게 됩니다. 예를들어 모두 녹게 된다면 한반도는 서울이 잠길 정도가 됩니다 재앙이죠.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순환과정으로 절대 지구상의 물의 총량은 변화되지

    않습니다.

    다만 지구온난화로 증발량이 많아져 바닷물이 줄어든다 생갇 되지만 반대로 강수량이 증가하여 다시 원래 양을

    되찾게 되는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온도가 계속 상승하면 바닷물도 증발하여 줄어들 수 있습니다. 높아진 기온으로 인해 바다의 표면에서 수증기가 발생하면서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가하고, 이는 지구 온도 상승을 더욱 가속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가하면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지역적인 변화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닷물이 줄어들게 되면, 이는 지구 환경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바다는 지구의 생태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바다의 온도, 염분, pH 등의 변화는 수많은 해양 생물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바닷물이 감소하면 해안 지역의 생태계나 해양산업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 온도 상승을 막는 것이 바닷물을 보호하고 지구 생태계를 지키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