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24.04.20

소멸위험지수란 정확하게 무엇을 말하는것인가요?

인구감소, 지방도시소멸을 얘기할때 소멸위험지수라는것이 있던데요, 그런데 소멸위험지수란 정확하게 무엇을 말하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방소멸위험지수가 어떤 의미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한 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이 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고 합니다.
    즉, 이 지수 수치가 낮으면 인구의 유출·유입 등 다른 변수가 크게 작용하지 않을 경우 약 30년 뒤에는 해당 지역이 없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소멸위험지수 0.2 이상 0.5 미만으로 소멸 위험으로 분류된 기초자치단체는 총 70곳이라고 합니다. 읍면동은 778곳입니다.(21.7%)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멸위험지수는 지역의 인구 감소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로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수로 나눈 값입니다.즉 출산 가능한 여성 인구 대비 고령 인구 비율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멸 위험이 매우 낮은 소멸 저위험 지역, 1.0~1.5인 경우 보통, 0.5~1.0인 경우 주의, 0.2~0.5는 소멸 위험,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고 합니다.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 위험 지역이라고 정의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