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인 김치는 언제부터 먹었나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이11입니다.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인 김치는 언제부터 먹었나요?

그리고 예전의 김치와 지금의 김치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김치는 삼국시대때부터 먹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고추는 16세기에 일본에서 들어왔기때문에 삼국시대에는 배추와 소금을 절인 것을 먹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 이후로 김치에 고추를 넣어가면서 오늘의 김치로 오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기록에 따르면 김치의 유래는

      백김치-고려, 1241년(고종 28년)
      고추김치-조선, 1766년(영조 42년)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치라는 음식은 유래를 추적하기 어려우나 농경 민족들에게 나타나던 채소를 소금에 절려 장기 보관한 형태의 음식으로 추정하며, 대한민국의 상고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삼국지 위지동이전에 고구려에서는 발표식품을 만들어 먹었다는 기록이 전해져오며 정창원고문서에는 수수보리저, 현재의 김치 비슷한 것을 만들어 일본으로 보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김치의 원형은 무가 기본으로 물김치, 나박김치 초기형태가 고려시대에 나타났고, 현대의 붉은 김치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래한 고추가 포르투갈 상인들을 통해 동아시아로 전해진 이후입니다. 다만 이 시대에 김치는 고추 몇개를 넣어 맛이나 향을 더하는 정도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치는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으로, 수천 년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조선 시대부터 이미 존재하던 것으로 추정되며, 고구려 시대부터는 이미 김치를 많이 먹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김치가 현재와 같은 형태로 발전하는 데에는 일정한 시기가 필요했습니다. 예를 들어, 16세기 말에는 인삼, 홍삼, 건강식품 등의 원료로 김치를 만들어먹는 것이 일반화되면서, 김치가 보다 다양한 종류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과거 김치는 재료와 제조 방식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 시대에는 소금을 사용하지 않고 해조류를 사용하여 발효시키는 '젓김치'나, 통째로 한 마리씩 굴리는 '마른김치' 등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20세기 이후에는 소금, 고춧가루, 다진 마늘, 생강, 무 등을 사용하여 만드는 '배추김치'가 대표적인 김치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김치 제조 방식의 변화와 함께 국내 김치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현재까지도 김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음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김치의 역사를 보면 어떤 학자들 같은경우에는 3천년 전에도

      김치가 있었다고 보고 있지만 기록이 없기 때문에 기록으로는 고려시대에부터

      김치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는것으로 그 즈음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학자들은 대략 3000년 전부터 김치가 있었다고 본다고 합니다.

      또한 고려시대 이규보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에는 순무장아찌와 소금 절임 관한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614184.html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확히 언제부터 김치가 유래 되었는지는 파악 하기 어려우나 대한민국의 상고 시대부터 있었다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삼국지 위지동이전에는 "고구려에서는 발효식품을 만들어 먹었다."라는 기록이 전해져 오며 《정창원고문서》에는 수수보리저(須須保里菹), 현재의 김치 비슷한 것을 만들어 일본으로 보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고 합니다. . 또한 《삼국사ㄷ기》에도 김치와 비슷한 발효식품이 기록되어 있다고 기록 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치는 오랜 전통음식입니다. 채소를 절여만든 지, 혹은 저라는 한자가 그것입니다. 고려 시대에도 사료에 등장합니다. 삼국시대 음식과 관련된 서적이 없지만 삼국시대부터 먹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국사료에도 지 혹은 저가 등장하고 여럿 보입니다. 따라서 채소를 절여먹은 것이 중국에서 넘어온 것인지는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김치를 오랫동안 다양한 형태로 담가먹었습니다. 조선 후기 임진왜란 이후 왜에서 전파된 고추가 곁들여져 오늘날의 빨간 김치가 시작되었습니다. 오늘날까지 다양한 김치가 담가지고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김치는 우리 전통문화의 발달된 형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치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으며, 정확한 시작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김치의 역사는 4세기경, 당나라 시대 중국 고문서에 등장한 기록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습니다.


      한국에서 김치가 처음 등장한 시기에 대해서도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고려시대에는 이미 김치가 일상적으로 섭취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김치가 생겨나면서 더욱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고추가 들어오기 전 우리 조상들은 '백김치'를 이미 삼국시대 때부터 만들어 먹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조선 중기 이후 고추가 들어온 이후부터는 오늘날 우리가 먹는 김치를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