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고귀한게논239
고귀한게논23923.09.29

인도의 경제성장이 점점 커가는 시대라고 하는데 진실인가요?

인도의 경제성장이 점점 커가는 시대라고 하는데 진실인가요?

사실 중국이 크다는건 알고 있는데...요새 중국도 성장을 다했다고 하더라구요.

진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도의 경제성장은 현재 커지는 중입니다.

    인도의 명목 GDP는 2022년 깆누으로 세계 5위이며, 경제규모는 2022년 기준 세계 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도 경제는 현재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 GDP기준으로 세계 4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였어요. 인도의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은 저렴한 인건비와 이를 뒷받침하는 뛰어난 인력수준 그리고 일을 할 수 있는 젊은 연령층이 매우 두텁다는 것이 제조공장으로서 중국을 제치고 인도가 급부상하는 이유가 되고 있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을 넘어 인도는 세계최고의 인구 1위 국가이며 최근 경제성장을 기록함에 따라 중국을 넘어 세계 최대의 내수시장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 통화 기금 (IMF)이 전망한 올해 (2023년)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6.1% 입니다. 미국은 1.0%, 중국 4.4% 등 주요국 전망치보다 높은 데요. 이렇게 인도는 중국 보다 더 훨씬 발전 가능성이 있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인도는 중국에 비해서 아직 심각한 문제가 있습니다. 인도는 전통적인 카스트 제도가 아직 발전을 저해 하는 요소이기도 하고 빈부의 격차가 너무 커서 소비 시장이 크지 않습니다. 이에 비해 중국은 인도에 비해 소비 시장이 굉장히 커서 애플과 같은 국제적인 기업들도 중국을 무시 하지 못하는 것 입니다. 당분간은 인도가 중국을 추월 하지는 못할 것 으로 생각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현재 인구수도 중국을 앞질러 인도가 1위인 상황이고, 최근 g20회의에서 인도의 발언의 영향력이 커졌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중국은 현재 부동산 이슈 및 반도체 규제 등으로 예전만큼의 성장률을 가져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중국은 현재 디플레티션 우려도 있고

    성장률도 낮아지고 있으며 인도는 많은 공장들이

    이동히고 있으며 성장률도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중국 유럽 등 각국의 보호주의 성향이 강해지면서 국제 무역은 계속 위축되고 있습니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전세계 GDP에서 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금융위기 이전 61%에서 지난해 57%까지 낮아졌습니다.

    전세계 교역은 퇴조하고 있지만 미국의 무역 의존도는 25.5%에 그치기 때문에 무역 퇴조에 따른 타격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습니다.

    성장세를 이어가는 국가들은 미국과 정치·경제적으로 유사한 입장을 취하면서 무역 의존도가 낮다는 공통점이 있음, 대표적인 국가로 인도가 있습니다.

    IMF에 따르면 인도 경제는 올해 6.1%, 내년 6.3%의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반사이익’을 얻으면서도 GDP에서 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49.4%로 비교적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