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가 꺾인다는건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하나요?
매매하면서 차트를 보다가 궁금한게 생겼는데
사람들이 추세가 꺾여서 반등이다 하락이다 를 판단하던데
추세가꺾인다는건 무얼보고 판단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추세의 경우 보통 월봉이나 주봉의 움직임을 보고 추세선이 꺾일 경우 추세가 꺽였다고 많이 판단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동평균선의 단기,중기,장기적인 표시에서 횡보후에 상승이든,하향이든 한쪽방향으로 흘러가는것을 말합니다.당분간 한쪽의 흐름대로 진행된다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너무 다양합니다. 차트 추세는 사실상 주관적인 요소이지 객관적인 지표는 없습니다.
객관적인 지표가 있으면 다들 돈 벌었겠죠.
차트보다 경제흐름을 보시는게 좋습니다.
일단 추세가 보통 꺾였다고 보는 다양한 지표 중 하나를 말씀드리면
만약에 첫 번째 장대 양봉 후에 윗 꼬리가 길게 나오고 다음 두 번째, 세번째 정도에도 장대 양봉이지만 첫 번째 이상이 안 나왔을 때 여기가 마지노선이고 다음엔 하락이 오겠구나라고 예상을 하곤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추세가 꺾이는 기준은 투자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20일 이동평균선을 하회 돌파하면 추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요. 일반적으로는 추세선을 긋고 추세선 밑으로 떨어지면 추세가 꺾인 것으로 판단합니다. 추세선은 주가의 흐름을 보고 저점을 이어서 만드는 선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차트에서 추세의 변화를 판단하는 것은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의 주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추세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1)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 분석
이동평균선은 가격 변동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그래프로 표현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20일, 50일, 100일, 200일 이동평균선을 사용합니다.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로 올라가면 상승추세, 아래로 내려가면 하락추세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추세의 변화는 이동평균선과 주가 차이가 벌어지는 시점에서 나타납니다.
2) 상승/하락 트렌드라인(Trendline) 분석
트렌드라인은 가격 변동의 추세를 나타내는 직선으로, 주가 차트 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석 방법 중 하나입니다. 상승추세에서는 주가 차트 상단의 저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그리며, 하락추세에서는 주가 차트 하단의 고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그립니다. 추세의 변화는 트렌드라인을 돌파하는 시점에서 나타납니다.
3)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 RSI) 분석
RSI는 주가의 상승세와 하락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인기 있는 기술적 분석 지표 중 하나입니다. RSI는 일정 기간 동안 주가의 상승폭과 하락폭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RSI가 70 이상인 경우에는 과매수 상태, 30 이하인 경우에는 과매도 상태로 판단하며, 추세의 변화는 RSI 값이 이러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 나타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활용하여 주식 차트에서 추세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식 시장은 예측이 불가능한 불확실한 요소가 많기 때문에 항상 완벽한 결과를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