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완벽한하마13
완벽한하마13

재테크에 있어서의 복리효과를 강조하는데, 쉽고 간단히 설명하면 어떤 효과를 말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65
직업
기타
근로형태
해당 없음
결혼여부
기혼
월 수입 현황
700
월 고정 지출 비용
200
월 가용자금
500
희망 상담 분야
은퇴 설계

재테크에 있어서의 복리효과를 강조하는데, 쉽고 간단히 설명하면 어떤 효과를 말하나요? 쉽게 현실감각과 피부에 와 닿지 않는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재테크에서의 복리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재테크에서 복리효과란 결국 이자에 이자, 수익에 수익을

    한번 더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효과를 가장 쉽게 말씀드리면,

    100만원을 투자해서 이자를 10만원 받았다면, 110만원이 되니

    이를 그대로 투자하면 그때부터는 110만원을 투자할 수 있으니 동일한 금리를 받아도 11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것이 복리효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예로 들어보면 10만원으로 오늘 10% 수익율을 기록하게 되면 원금 10만원 + 수익 1만원으로 11만원이 됩니다.

    이 11만원은 내일 다시 재투자되는데 이는 원금이 11만원으로 시작합니다. 어제나 오늘이나 10%의 수익율이라고 하면 투자 원금이 달라지기 때문에 11천원 이 수익이 됩니다. 매일 매일 복리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죠. 원금이 달라지기 때문에..

  • 복리효과란 간단하게 말하면 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것을 말합니다.

    100만원을 5% 이자로 1년 예금을 가입하면 1년 후에는 1,050,000원(세전)을 받게 됩니다.

    1,050,000원을 또 같은 조건으로 예금을 들면 2년 후에는 1,102,500원을 수령하게 되는데 단순하게 보면 2,500원을 더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이때 2,500원은 1년차에 받은 이자 50,000원에 대한 이자입니다.

    이렇게 이자에 또 이자가 붙어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것을 복리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에서의 복리는 투자수익을 원금에 합쳐 계속 투자를 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100만원의 자산을 가지고 계시고 투자수익률 5%로 가정하였을 때, 한번의 거래시 5만원의 수익이 생기게되며

    이를 원금에 합산하여 재투자, 원금은 105만원이되고 105만원 5%는 5.25만원 다시 원금일 더하면 110.25만원,

    이걸 반복하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산술적으로는 100번의 매매하였을 때 원금은 약 1억3천만원이 됩니다.

    투자수익을 계속 재투자하여 결국자신의 원금을 늘리는 것을 복리의 효과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테크에 있어서의 복리효과는 이자에 이자가 붙어 기하 급수적으로 재테크 자산이 불어나는 원리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100원을 투자하여 10% 이자가 붙으면 110원이 되고, 다시 10% 이자가 붙으면 121원이 되고, 다시 10% 이자가 붙으면 133.1원이 되는 원리입니다.

    이렇게 복리로 이자 혹은 수익이 5년 10년 정도 늘어나면 단리 이자 방식에 비해 기하급수적으로 자산이 불어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 효과에 대해 고민하시는 것이 정말 중요한 출발점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를 추상적으로만 느끼는데요, 실제로는 간단한 원리로 큰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복리는 이자를 원금에 더해 다시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원금뿐만 아니라 이자가 불어나며 "돈이 돈을 버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500만 원을 연 5% 이율로 복리로 투자한다면, 첫해엔 25만 원 이자가 발생하지만, 이 이자가 다음 해 원금에 합쳐지며 2년 차엔 26만 2천 5백 원으로 점점 더 커지는 구조입니다.

    쉽게 말해, 시간을 길게 가져갈수록 자산이 눈덩이처럼 커지게 됩니다. 이를 활용하려면 꾸준한 장기 투자가 핵심입니다. 월 가용자금 중 일부를 저축이나 투자를 통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해보세요. 지금 시작하신다면 은퇴 설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 효과(compound interest)는 간단히 말해, 돈이 돈을 벌고, 그 번 돈이 다시 돈을 벌어주는 효과를 말합니다. 즉, 투자 수익이 원금에 더해지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수익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쉬운 예시로 설명

    단리 방식: 매년 원금만큼만 수익이 생깁니다.

    예: 1000만 원을 연 5%로 투자하면, 매년 50만 원씩 늘어납니다. (10년 후 1500만 원)

    복리 방식: 첫 해의 이자도 원금에 합쳐져 이자가 붙습니다.

    예: 1000만 원을 연 5%로 복리로 투자하면, 첫 해는 50만 원이지만, 다음 해는 1050만 원에 이자가 붙어 52.5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10년 후 약 1629만 원)

    복리 효과의 핵심: 시간

    복리 효과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강력하게 작용합니다. 아래는 30년간 연 5% 복리로 투자했을 때의 결과입니다.

    원금 1,000만 원

    10년 후: 약 1,628만 원

    20년 후: 약 2,653만 원

    30년 후: 약 4,322만 원

    시간이 길어질수록 돈이 점점 더 빠르게 불어납니다.

    ---

    왜 현실감각이 안 와 닿을까요?

    1. 단기간에는 효과가 작다: 복리 효과는 시간이 지날수록 커지기 때문에 처음 몇 년 동안은 느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긴 투자 기간의 필요성: 현실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장기 투자를 어렵게 느낍니다.

    3. 투자 원칙 미준수: 지속적인 투자와 안정적인 수익률 유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은퇴 설계에 적용

    500만 원의 월 가용자금을 장기 투자에 활용하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예: 매월 50만 원씩 연 5% 복리로 투자

    10년 후: 약 7700만 원

    20년 후: 약 2억 원

    30년 후: 약 4억 원

    복리의 힘은 은퇴자금 마련에서 특히 강력합니다.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들어 꾸준히 투자하면 현실감 있는 결과를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