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배당락은 반드시 발생하는지요?

안녕하세요.

배당은 12월30일기점으로 보유한 주주를 산정하여 이듬해 2,3,4월경 배당을 하지요?


그런데 배당락은 12월30일 담날 발생하나요?

그렇다면, 배당금이 얼마일줄 알고 발생하나요?


개인이 안팔면 배당락일 발생 안할꺼 같은데

이게 다 파는심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배당금을 수령하는 배당기준일이 지나면

      이에 따라서 배당락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기업의 각종 호재로 인하여 주가가 오히려 상승할 수도

      악재로 인하여 오히려 배당락보다 더 크게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유 기간에 따라 주식 배당금을 지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배당락일은 보유 기간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12월 30일까지 보유한 주식을 기준으로 다음해 2월에 배당금을 지급한다"라는 경우, 12월 31일에는 이미 배당락일이 지난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배당금은 회사의 실적과 결정에 따라 다르며, 보통 주당 배당금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보유한 주식 수에 따라 지급 금액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1주당 1,000원의 배당금을 지급한다"라는 경우, 보유한 주식 수에 1,000원을 곱한 금액이 지급됩니다.

      마지막으로, 배당락일과 관계없이 주주가 주식을 보유하면 일정 기간마다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식을 보유하면서 배당금을 수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안팔면 현금배당에 대해서는 제도적으로 배당락이 없으므로 발생하지 않는데,, 시장 참여 주체들이 굳이 배당을 받을 권리가 없어진 주식을 굳이 들고 있으려고 하지 않으므로 배당락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 주식배당에 대해서는 제도적으로 배당락 O)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배당락은 질문자님께서 말씀주신대로 배당을 지급받는 기준일 이후에 해당 주식이 하락할 것을 예상하거나 혹은 더 이상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해당 주식을 대량으로 매도하면서 발생하는 하락입니다.

      이러한 배당락은 우리나라의 주식이 연간 배당을 하고 배당주들의 특성이 '주가 상승'이 크지 않은 경우가 많다 보니 배당이외의 매리트가 크지 않아서 해당 주식을 매도하고 다른 주식을 거래하여 시세차익을 노리려고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에 월배당이나 분기배당을 하는 주식의 경우에는 배당의 주기가 짧다 보니 해당 주식을 매도하지 않고 보유하는 이들이 증가하여서 연간 배당을 하는 기업들에 비해서 배당락의 폭이 낮거나 혹은 배당락이 발생하지 않는 기업들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영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를들어 배당금을 5%지급하는 회사가 배당락을 받게되면 싯가가 마이너스 5%로 시작되는게 아닙니다.물론 그럴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하락율이 적은 상태에서 시작해서 배당율 만큼 빠지기때문에 배당락일에 싯가로 매도하고 재매수하면 추가로 약간의 수익이 가능합니다. 또한 배당락을 받아 배당율만큼 하락을 하더라도 주가가 다시 회복되는 경우도 많습니다.배당이 높은 주식에 장기투자하는 분들은 그런 하락을 신경 안쓰고 매년 꾸준히 배당을 받는 사람도 많습니다.또한 배당을 꾸준히 지급하고 배당율이 높은 회사일수록 안정적인 매출,성장을 하기때문에


      배당락후 주가가 하락한다면 배당투자를 노리고


      주식을 매수하는 사람들로 주가가 하방경직성을


      띠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배당주에 투자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배당락의 경우 기본적으로 배당기준일이 설정되기 때문에 배당락은 반드시 발생하는 날입니다. 일부 투자자의 경우는 배당을 받기위해 주식을 매수하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배당기일이 지나면 파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배당락일 이전에는 배당금 지급을 기대하고 있는 투자자들이 많이 주식을 매수하게 됩니다. 그러나 배당락일 이후에는 배당금 지급을 받을 수 없는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주식 매수 수요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배당락일 이후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며, 기업의 재무상황, 산업 동향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주가 변동은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배당락일 이전에는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이 예상되어 투자자들이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게 되므로,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배당락이라는 단일 요인만으로는 주가 변동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저 배당 기준일이 전년 12월 31일이고 배당 의결을 위한 주주총회가 보통 3월에 열리는데 주총 의결 이후 한 단 이내에 지급합니다. 대략적으로 4월 중에 주총에서 의결한 배당이 지급될 것입니다.

      아울러 배당락은 시가 배당률만큼 반드시 발생하는데 시장 상황과 해당 주식의 수급과 추이에 따라 배당락 직후 바로 떨어진 주가만큼 올라가기도 하고 배당락만큼 떨어진 주가가 유지되기도 합니다. 상황에 따라 양상이 매우 다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배당금은 일반적으로 해당 분기의 수익과 주식 발행 수, 주가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결정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배당금은 배당금 발행일에 지급되며, 배당금 발행일 전까지 보유한 주식을 기준으로 배당금이 계산됩니다. 따라서 배당락일은 보통 배당금 발행일의 1~2주 전에 발생합니다.

      배당금의 양은 회사의 실적과 경영 성과 등에 따라 결정되며, 배당금의 양이 높을수록 주주들에게 이익이 됩니다. 그러나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주식을 팔거나 보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개인의 판단에 따라 주식을 팔거나 보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개인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