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슬기로운게249
슬기로운게24922.02.11

잠잘 때 가끔 이상한 느낌이 들어요.

나이
28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잠잘 때 가끔씩 얕은 잠? 같은 느낌이 들면서 그 상황을 벗어나고 싶고 깨어나려고 애쓰다가 간신히 깰 때가 간혹 있어요.어렸을 때 부터 그랬는데 이게 가위를 눌리는건지 잘 모르겠어요. 가끔 이럴때 가위를 눌린다는 것처럼 뭐가 보이거나 그러지는 않지만 이상한 소리나 시끄러운 소리(실제 상황에서는 안들리고 저한테만 들리는 소리) 등등이 들리는 것 같기도 하고 조금 불쾌한 느낌이 들어서 깨어나려고 애쓰다가 깨곤해요. 원래 평소에도 귀에 약간 이명이라고 해야하나 살짝 삐- 하는 소리가 계속 들리기는 하는데 이명이나 잠잘 때 이런것들이 꽤 오래되었고 이제는 익숙해서 깨고나면 다시 잠들곤 해요. 근데 이게 애써서 깨고나서 다시 잠들면 2~3번씩 또 오기도 하구요..이게 그냥 가위를 눌리는걸까요, 아님 숙면을 취하지 못해서 그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2.13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잠잘 수 있는 조건과 적당한 환경이 조성되었으나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불면증이라고 합니다. 불면증 환자는 잠들기가 힘들다거나 야간에 자주 깬다거나, 혹은 새벽녘에 일어나 잠을 설치게 됩니다. 불면증에는 3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일시적 불면증이란 며칠 밤 지속되지 않으며 수면주기의 변화, 스트레스, 단기 질병에 의해 보통 발생합니다.

    단기 불면증은 2주에서 3주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스트레스 혹은 신체적, 정신적 질병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장기 혹은 만성 불면증은 몇 주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매일 밤, 대부분의 야간시간대 혹은 한 달에 여러 번 밤에 잠을 못 이루게 되는 것입니다.

    ● 생활습관 요인

    많은 약물과 습관들이 불면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음주, 흡연, 카페인 성분이 포함된 음료들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불면증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약물들로는 항암제, 갑상선치료제, 항경련제, 항우울제, 경구용 피임제, 심지어는 수면제를 장기간(30일 이상) 복용하여도 수면장애를 호소할 수 있습니다. 잠자는 시간이 날마다 바뀐다거나 하던 일이 변하는 것도 좋은 수면을 파괴시키는 생활습관 요인들입니다.

    ● 환경적 요인

    자동차 소리, 비행기 지나가는 소리, 이웃의 텔레비전 소리와 같은 소음도 수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방이 너무 밝거나 방안의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아도 수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신체적 요인

    자는 동안의 주기적 근육 경축과 같은 일차적인 수면 관련 질환들이 모든 만성 불면증 원인의 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른 신체적 요인들, 예를 들면 관절염이라든지 속쓰림, 월경, 두통, 얼굴이 화끈거리는 열감 등이 잠을 못 이루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심리적 요인일반적으로 불면증은 우울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알려져 있고 미미한 심리적 요인들도 또한 불면증과 관련되어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스트레스나 환경 변화에 의해 불면증을 쉽게 겪는다고 합니다. 비슷하게 가정문제나 직업문제와 같은 것을 걱정할 때 잠을 설치게 되고, 마침내 그 사람이 잠자는 것에 대해 걱정을 하게 되면 그 걱정 자체가 수면을 방해하게 됩니다.

    쉽게 잠을 들지 못하거나, 잠이 들어도 자주 깨는 경우, 이른 새벽에 잠을 깨어 다시 잠을 이루지 못하는 등의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신과 의사가 면담을 통해 병력, 정신상태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필요 시 수면 다원 검사, 심리 검사, 원인이 될 수 있는 신체 질환 평가 등을 시행하여 불면증의 원인을 찾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해당하는 증상은 입면기시 볼 수 있는 일시적인 수면마비 증상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면병이 있는 경우 의식은 깬 상태에서 근육이 마비되며 간혹 환시, 환청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수면장애가 있는지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가까운 정신건강의학과 등에 내원 후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상기 증상에 대해서는 신경과에서 수면다원검사 혹은 정신과 진료를 권해드립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증상이 병적인 상태로 보이지는 않고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에 경과를 지켜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가위 눌린다는 증상은 수면 마비라고 합니다. 잠이 들거나 깰때 몸은 아직 수면 상태이지만 정신은 깨어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지요. 주로 수면 부족이나 불규칙한 수면에 의해 나타납니다. 혹시 낮에도 졸리다면 기면병이 있는 것일 수 있어서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료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해당 부분은 단순히 증상을 듣는 것만으로 정확히 무어라 말하기 어렵습니다.

    그로 인하여 일상생활이 힘들다면 우선 가까운 병의원 내원하여 상담 받아보시고 필요시에는 수면다원 검사 등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