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는 왜 백신을 만들기가 힘드나요
말라리아는 백신을 만들기가 어렵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왜 말라리아는 어떤 이유로 백신을 만들기가 어려운지 그 이유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말라리아 백신 모기의 침샘에 있는 포자소체가 혈액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백신의 지속력이 낮기 때문입니다. 다만, 백신은 현재 유통되고 있고 지속해서 개발 및 업그레이드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말라리아는 급성 열성 질환으로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 등 일시적 방문 동안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발생합니다. 말라리아, 특히 열대열 말라리아 원충(P.falciparum)에 의한 감염은 수세기 동안 아프리카 지역에 치명적 영향을 미쳐 왔는데요, 말라리아로 인한 연간 사망자 40만명 중 절반 이상(26만 명)이 5세 미만 아프리카 어린이입니다. 백신을 개발하려는 국제 사회의 오랜 노력에도 감염병 주범이 바이러스가 아닌 기생충이라는 난점 때문에 성과를 보기 어려웠습니다. 말라리아 해결이 어려운 첫 번째 이유는 말라리아 백신 자체를 만들기 어렵기 때인데요, 이는 인간과 암컷 모기를 오가며 변화하는 말라리아 원충의 생애 주기와 이 기생충 특유의 유전적 복잡성에서 비롯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처럼 말라리아 원충은 인간과 모기 사이를 오가며 수정체-포자소체-분열소체-배우자 세포 등 다양한 형태로 모습을 바꾸는데요, 문제는 각 생애 주기 단계마다 인간 면역계에 제공되는 항원이 수천개에 이르러 어느 것이 말라리아 백신 개발에 유용한 표적인지를 알아내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말라리아 백신 개발이 어려운 이유는 말라리아 원인 병원체인 플라스모듐이 복잡한 생명 주기를 가지며, 감염 단계마다 다른 형태와 항원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또한, 면역체계가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게 만드는 다양한 기작을 가지고 있어 단일 백신으로 모든 변이를 막기가 힘듭니다. 이러한 특징들 때문에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면역을 유도하는 백신 개발이 도전 과제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말라리아 백신 개발이 어려운 이유는 기생충의 복잡한 생애 주기와 변이 너ㅡㅇ력 때문입니다.
또한 기생충이 면역 시스템을 회피하는 메커니즘이 다양해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