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후유장해등급에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지난8월말경 업무중사고로인해 병원에서 수술을진행하였는데 왼쪽다리 양쪽복숭아뼈골절및 인대파열 근육손상등으로 인해 양쪽에 핀8개와긴핀2개를박았으며 최초 의사진단 전치16주를 진단받고 1달보름정도입원하여 퇴원후 통원치료를 받고 지금현제 산재재요양신청을 하여 핀제거수술을 앞두고 있는상태인데 위내용을 참고로 모든치료과정이 끝나고 난뒤에 산재후유장해신청을 하게되면 통상적으로 보통 어느정도의 등급판정을 받을수있을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등급판정은 보통 전문의의 진단과 판정기준에 따라서 정해지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자세한건 치료를받고있는 병원에 문의해보시고 다리기능이 많이 제한되었다면 높은등급의 판정을 받을수있을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산재 휴유 장해 등급 같은 경우 등급 판정은 전문의의 진단 평가 및 진료 후에 판정 기준에 따라서 산출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치료 종결 이후 전문의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상담 가져보시면 좋을 것 같고 관련 서류 또한 상담 받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산재 후유 장해 등급 판정은 부상의 심각도 치료 결과, 일상생활 및 작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합니다 왼쪽 다리의 복숭아뼈 골절과 인대 파열로 인해 기능 회복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가 중요합니다. 대체로 다리 기능 저하가 심하면 높은 등급이 부여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등급을 알기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담하거나 산재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물리치료사입니다.
수술 이후에 남는 장애 여부에 따라 등급이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장해 등급 관련하여 법률 정보 참고하시고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csmSeq=575&ccfNo=4&cciNo=2&cnpClsNo=1
12급 이하로 측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구체적인 등급판정은 전문의의 진단 평가 및 진료 이후에 후유장애 등급 판정 기준에 따라서 산출될것으로 생각됩니다. 치료 종결 이후 전문의와 관련된 내용에 대한 상담을 해보시는 방법과, 손해사정사나 법률전문가와도 상담을 해보시는 방법을 추천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