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자유로운풍뎅이41
자유로운풍뎅이41

코스피 현재 동향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코스피가 3200선 뚫고 그 이후로 상승없이 횡보하는듯 한데요.

왜 더이상 상승을 못하고 주춤하고 있는걸까요?

정치적인 이유일까요?

못올라갈 이유가 별로 없는듯 보이는데 주춤하고 못올라가는 상황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7월중순이후부터 세법논란이 가장 큽니다 우선 7월에는 주요 선진국 증시는 매우 좋았는데 한국만 부진했는데 이는 결국 상법과 다르게 세법에서 대주주 10억완화에 거래세를 올린다는 즉면 배당세 분리과세도 기대치보다낮은 35%등 상법과는 전혀 다른 스탠스를 보이면서 이번 정부가 과연 코스피 5000부양이 맞냐는 회의적인 시각이 팽배해지면서 신뢰를 잃은게 가장 큰 요소입니다

    그러면서 최근 미국의 관세장벽이 더욱더 심화되면서 한국의 피해가 커질것으로 우려가 되고 있고 이제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도 근원 PCE가 2.9%가 나오면서 생각보다 연환산시 3.6%나오는 높은 수치가 예상되면서 기준금리 인하가 다시 낮아지게 되면서 이런 후폭풍이 하락 기간조정으로 이어진 요인이 된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가 3200선을 넘은 뒤 힘을 못 쓰는 건 단순히 정치 요인보다는 펀더멘털과 수급 문제 영향이 큽니다. 기업 실적은 양호해도 추가 모멘텀이 부족하고, 글로벌 금리 방향이 불확실하다 보니 외국인 자금 유입이 주춤한 상황입니다. 개인과 기관 수급도 뚜렷한 방향을 못 잡고 있어서 지수는 버티지만 추가 상승 탄력이 약한 모습입니다. 이런 구간은 단기 이벤트보다 경기 사이클과 글로벌 투자 심리가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코스피가 박스권에 갇힌 이유는 지난주 잭슨홀 미팅, 엔비디아 실적, 한미 정상회담 등 시장의 경계심리를 높였던 굵직한 이벤트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스피가 현재 박스권을 형성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미국 기준 금리 동향이 확실하게 정해지지 못하고 있고

    동시에 한국에선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이

    정해지지 않고 있어서 멈춰있는 듯한 느낌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가 왜 주춤하냐 이거 참 다들 궁금해하는 부분입니다. 숫자만 보면 3200 뚫었으니까 쭉쭉 갈 것 같은데 막상 열어보면 힘이 빠져 있는 느낌이죠. 이유를 단순하게 하나로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려운데, 보통은 수급이랑 심리가 동시에 묶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국인들이 적극적으로 들어와 주지 않으면 시장이 위로 못 튑니다. 근데 환율도 부담이고 미국 금리 불확실성도 계속 남아 있거든요. 정치 이슈도 당연히 영향을 주긴 하는데 그게 단독 원인이라 보긴 어렵습니다. 결국은 돈이 안 들어오니까 못 올라가는 거고,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뭔가 기다리면서 손을 멈춘 상태라서 답답해 보이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