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뽀로로
뽀로로23.01.07

기압에 따라 물의 끓는점도 달라지나요?

기압이 높고 낮음에 따라 물의 끓는점도 달라지낭요? 그렇다면 기압이 낮을 때와 높을 때의 물의 끓는점이 어떻게 변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7

    기압이 낮아질수록 물의 끓는점도 낮아 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산위에서 밥을하면 100도씨가 되기전에 물이 끓기 때문에 밥이 설익게 됩니다.

    또 압력밥솥에 밥을 하면 기압이 올라가 끓는점도 올라가게 되고 높은온도에서 물이 끓기 때문에 밥이 빠르게 되며 쌀이 잘 익게됩니다.


  • 물이 100도 끓는 것은 1기압일 때 입니다.

    1기압 이상일 때는 100도 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끓게 됩니다.

    반대로 기압이 낮은 곳에서는 100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게 됩니다.

    높은 고산 지대에서 밥이 설익는 이유가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압이 낮으면 낮은 온도에 쉽게 물이 끓습이다.

    높은 산에 올라가면 100도 근처도 안갔는데 물이 끊어오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높은 곳으로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집니다. 반대로 기압이 높은 곳으로 가면 끊는 점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많는 사람들이 압력밥솥을 좋아합니다. 높은 기압으로인해 높은 온도에 요리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기압에 따라 끊는 점이 바뀌는 이유는 기압이 분자의 구조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기압이 높을 수록 액체에서 기체로 변화는데 많은 힘이 들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액체가 기체가 되는 건 액체 분자가 충분한 에너지를 받아서 공기 중으로 날아가는 걸 의미해요.


    그런데 기압, 즉 공기가 액체 분자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기체가 되기는 쉽지 않은 일이에요.



    이때 기압이 낮아지면, 공기가 액체 분자를 누르는 힘이 줄어들고,


    분자는 더 작은 에너지로도 충분히 공기 중으로 날아갈 수 있게 됩니다.


    즉 끓는점이 낮아진다는 이야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