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호프배달
호프배달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이 인플레이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경제에 관심이 있는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지금 세계의 경제상황이 좋지 못하고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나라들도 늘어나는 추세인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경제상황이 좋지 않은데 이게 인플레이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러우전쟁 발생 이후 인플레이션이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적인 경제문제로 대두되었고 인플레이션율은 고점을 찍은 후 계속해서 내려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추후 경제상황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문제보다는 오히려 경기침체에 따른 디플레이션 문제를 겪을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이 확산될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기본 인플레이레율은 꾸준히 오르겠지만 5프로 이상씩 오르긴 어려운게 현재 소비급감과 동시에 부동산의 거래도 눈에 띄게 감소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도 이제는 점차 경제가 기울어가는게 보여 둔화나 침체단계로 가고 있는 중이라 인플레이션은 보다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완화되고 있습니다. 어느정도의 적정 인플레이션은 세계경제의 추세이며

    현재 심각한 상황이라고 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현재 이미 인플레이션이 많이 적용된 상황으로 여기서 더 인플레가 작용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 오히려 미국의 금리인하가 진행되면서 수입물가가 안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또한 우리나라 경제가 어려워진다면 내수경제가 죽기 때문에 물가는 더 인상되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까지 인플레이션율이 높아서 (경기가 좋아서) 금리인상 정책을 미국을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진행했고, 지금은 인플레이션율이 2%대로 안정을 찾았습니다.

    현재는 세계적으로 높아진 기준금리로 인하여 경기 침체가 예상되기 때문에 금리를 인하하려고 준비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즉 경기침체를 막는 방법으로 금리 인하를 단행하는 것입니다.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확률이 낮습니다.

    현재는 경기침체가 예상됨에 따라 인플레이션율이 꺽기고 있는 추세입니다. 참고로 아래 자료는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셔율 변화입니다.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이 인플레이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미 한국은 높은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기준 금리 인하를 단행하면 더 큰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 보통은 경제상황이 좋지않으면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디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즉 물가 상승이 아니라 물가하락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경제상황이 안좋은데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국가는 국가에서 너무 많은 돈을 찍어낸 경우가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미 전세계가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고 코로나때 돈을 푸는 정책을 썻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영업자 소상공인이 여느나라보다도 많은 편인데요 소비형 쿠폰으로 자영업자들을 살렸죠, 지금은 이미 인플레이션이고 원래 주요원인은 인건비인상, 러우전쟁으로 인한 원자재비용의 상승에 있습니다. 물론 물건값이 오르면 안팔리게 되니, 가격을 내려야 정상인데, 안내립니다. 돈에 여유가 있는 판매자들의 경우,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 경제 상황이 좋지 않지만 인플레이션 확산 가능성은 낮습니다. 2024년 한국의 인플레이션율은 2.6%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도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수요 둔화와 생산자 가격 하락 덕분에 물가 상승 압력이 줄어들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되려면 화폐의 가치가 하락(통화량 증가 등의 이유)으로 상품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인데요.

    현재 통화량이 증가된 상황은 아니지만 상품의 가치는 지속 상승중이라 인플레이션으로 갈 수 있는 단계라서 기준금리를 내려 통화량을 늘리는 정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