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모든 바다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인가요?

바다의 염분에 대하여 염분비 일정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던데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바다가 어느 지역에 위치하든, 어떤 바다이든

환경조건을 따지지 않고 동일하게 적용되는 법칙인가요?

예를들면 남극은 빙하가 녹아서 예전보다 물의 비율이 높아졌을 수도 있는데

이는 홍해의 염분비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나요?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어떤 내용의 법칙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짙푸른보석새82
      짙푸른보석새82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염분은 지역이나 계절에 따라 달라지지만, 염류를 구성하는 성분 비율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이것을 ‘염분비 일정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질문자님의 질문대로 극지방과 적도의 염분의 양은 다릅니다. 하지만 어떤 해수던 염류의 비율은 항상일정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모든 바다에서 동일하게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바다의 염분 농도와 바다의 증발과 강우에 의한 물의 추가 및 감소 사이의 균형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지리적인 요소, 강의 유입, 증발율, 강우량 등에 따라 바다의 염분 농도는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바다에서 동일한 염분비 일정이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바닷물의 염류 비율이 지역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일반적인 법칙이지만, 극지방이나 기수역과 같은 특수한 환경에서는 예외적으로 염분비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바다의 염분 비율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지역에 위치하든 어떤 바다이든 환경 조건을 따지지 않고 바다의 염분 비율은 일정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남극에서 빙하가 녹아서 물의 비율이 높아지더라도 홍해의 염분비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바다의 염분 비율이 일정하다는 법칙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바다의 염분 비율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모든 바다에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어떤 바다에서도 염분비 일정의 법칙이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전 세계 바닷물의

      염분 함량 비율은 일정하다는

      법칙입니다.

      바닷물 1kg에 포함된 주요

      염류의 비율은 어느 지역이나 환경

      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합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지구상의 모든

      바닷물에 적용됩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염화칼륨

      탄산칼슘 등 주요 염류에

      적용됩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극한 환경에서도

      어느 정도 유지됩니다.

      빙하 녹아 해수

      희석 강수량 증가 증발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염분비가 조금씩 변할 수 있습니다.

      극한 환경: 앞서 언급했듯이 극한

      환경에서는 염분비 일정의 법칙이 완벽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기타 특수 환경: 강의 유입 기수역

      폐쇄된 해역 등 특수한 환경에서는

      염분비가

      변할 수 있습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해양

      환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을 이용하여

      해수의 염분 함량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과거 지구 환경 변화를 연구하는 데

      활용됩니다.

      남극 빙하가 녹아 해수 희석은 염분비

      일정의 법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빙하 녹아 해수 희석은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전 세계

      해양의 염분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빙하 녹아 해수 희석이

      염분비 일정의 법칙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바닷물 1kg에는 평균적으로 염분이 35g 들어있지만, 전 세계의 모든 바다는 염분의 양이 다르다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러나 용해되어 있는 염류 사이의 비율은 일정하며, 이를 염분비 일정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이는 해수가 상당히 오랜 시간에 걸쳐 순환하며 잘 섞였기 때문에 세계 여러 바다에서 염분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입니다.

      이 법칙은 1884년 스코틀랜드의 화학자 윌리엄 디트마르가 1873년부터 1876년까지의 챌린저 탐사 도중 얻은 전 세계 77개 해역의 염분비 자료를 조사하여 발견한 것입니다.

      그래서 염분비 일정의 법칙에 따라, 바닷물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의 농도만을 측정해도 모든 염분의 양을 알 수 있는데, 가령 염소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해양학자 마르틴 크누센은 1889년 'S=1.80655×Cl'식을 제시했습니다.

      여기서 S는 전체 염분의 비율을, Cl은 염소의 비율을 하는며 단위는 모두 퍼밀입니다.

      이 공식은 1962년 JPOTS에서 크누센의 식에 새로운 비례상수를 붙여 약간 수정되었는데, 간단하게 말하면 염분의 총량은 염소의 약 1.8배배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세계 바닷물의 염분의 양은 모두 다릅니다, 그렇지만 전체 염분중에 각각의 염류가 차지하는 구성비는 어디서든 일정한데 이것을 염분비 일정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바닷물의 염분은 증발 및 강물 유입으로 달라지지만 무기염류 상호간의 비는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한가지 성분의 양만 알면 다른 성분의 양도 예측이 가능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평균적으로 바닷물 1kg에는 염분이 35g 들어있으나, 전 세계의 모든 바다는 염분의 양이 다르다. 하지만 용해되어 있는 염류 사이의 비율은 일정한데, 이를 염분비 일정의 법칙이라고 한다. 이때, 세계 여러 바다에서 염분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유는 해수가 상당히 오랜 시간에 걸쳐 순환하며 잘 섞였기 때문이다.

      출처 : 위키백과 - 염분비 일정의 법칙

      즉 염류는 1kg에 녹아 있는 염화나트륨, 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등의 무기물질이 해수에 녹아있는 비율이 같다는 것입니다. 양이 같다는 것이 아니라 비율이 같다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