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수요일
수요일

강이 바다와 만나는 지점이 있을텐데 왜

강이 바다와 만나는 부분이 있을텐데 왜 바다와 강의 민물은

서로희석 되지 않나요? 어떻게 이러한 현상이 생길수가 있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점에서 두 수역이 즉각적으로 희석되지 않는 현상은 주로 밀도와 용질 농도의 차이에 의해 설명됩니다. 바닷물은 상당량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로 인해 그 밀도가 높습니다. 이러한 밀도의 차이는 강물이 바다 위로 더 가볍게 떠오르게 만듭니다. 강물이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염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밀도가 낮아 바닷물과 쉽게 혼합되지 않고 일정 구간에서는 두 물의 경계가 명확하게 관찰됩니다.
    추가적으로, 강물과 바닷물의 온도 차이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온도가 물의 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은 더욱 쉽게 분리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계는 특히 강과 바다가 만나는 하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이를 과학적으로는 '염분 전선(Salinity Front)'이라고 칭합니다.

    이 현상을 수학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우리는 물질의 이동을 기술하는 아들러-스토크스 방정식(Advection-Stokes Equations)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정식은 유체의 속도 필드 및 그 속의 농도를 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

    ρ(∂t u + u · ∇u) = -∇p + μΔu + f

    여기서 u는 유체의 속도 벡터, p는 압력, μ는 점성 계수, f는 외부 힘을 나타냅니다. 이 방정식을 통해 다양한 밀도와 농도 조건에서의 유체 흐름을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을 하구 또는 기수역이라고 부릅니다. 이곳에서는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지만, 완전히 희석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 물리적, 화학적 요인 때문입니다.

    1. 밀도 차이: 바닷물은 염분이 많아 밀도가 높고, 민물은 염분이 적어 밀도가 낮습니다. 이로 인해 바닷물은 아래로 가라앉고, 민물은 위로 떠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조류와 흐름: 바다와 강의 물이 만나는 지점에서는 조류와 강물의 흐름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물이 완전히 섞이지 않고 층을 이루게 됩니다.

    3. 염분 농도 차이: 하구에서는 염분 농도가 점진적으로 변합니다. 강물과 바닷물이 섞이면서 염분 농도가 다양한 층을 형성하게 되어, 완전한 혼합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강과 바다가 만나는 곳의 생태계는 강과 바다 두가지 모두의 환경을 갖습니다.

    예로 벗굴은 강과 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자라는 생물로 굴과는 또 다른 맛을 가지고 사이즈도 큽니다.

    환경에 적응하기 때문에 생겨나는 현상인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민물과 바닷물은 섞이지 않습니다. 그것은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계속 민물이 바닷물로 유입되기 때문에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지 않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