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물은 어는데 왜 바닷물은 얼지 않을까요?
날씨가 너무 추어서 근처 강가에 가보니깐 강이 전부 얼어있더라구요. 그리고 강 근처에 바닷가가 있는데 바닷가는 안얼었구요. 강은 얼었는데 바다는 얼지 않았을까요? 그이유가 무엇일까요?
물의 어는점은 0도 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순수한 물의 경우이고, 불순물이 포함되면 보통 어는점이 낮아집니다.
염분이 섞인 바닷물은 어는점이 낮아 잘 얼지 않습니다.
물이 얼기 위해서는 물 분자가 고르게 배치되어야 하는데,
염분이 이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물을 얼지 못하게 합니다.
따라서 염분이 없는 강은 잘 얼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순수한 강물은 0도에서 얼게 되지만
바닷물엔 소금이 많이 녹아 있어서
0도보다 더 많이 내려가야 물이 얼게됩니다.
또 바닷물은 양이 무척 많기 때문에 물을 얼리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 이유는 차가워 지기 위해선 주위의
온도를 빨아드려야 하기 때문이다.
바다는 너무커서 주위 온도를 다 빨아드리기 어려워서
그렇다는 것이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염분이 많은 바닷물을 일반 물에 비해서 늦게 얼거나, 얼어도 상대적으로 얼지 않은 액체인 부분이 더 많습니다.
영하 -2도에서 실험을 해보면, 소금 3%를 포함한 소금물은 살짝만 얼게 된다. 결과적으로 소금을 많이 넣을 수록 물은 잘 얼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이 바로 겨울철 얼음 도로 위해 염화 칼슘을 뿌리는 것입니다. 염화 칼슘은 어는 점을 낮추어 물을 잘 얼지 않게 만듭니다.
그리고 바닷물은 계속 조류의 영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일반 물보다 달 얼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 때는 어는 온도로 어는 점이라고 합니다.
중요한 점은 평균 어는 점은 0도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0도는 일반적인 물 물의 원소기호인 H20그자체를 말합니다. 순수물에 가까운 물은 어는점이 0도에 비슷합니다. 그러나 바닷물은 소금등 여러가지 성분이 섞인 혼합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는 점이 강물보다 더 낮게 됩니다. 그래서 예전 러시아 소련이 부동항이라고 얼지 않는 항구를 가지고 싶어했습니다. 즉 물에 섞인 물질의 성질에 따라 물의 어느는 점이 다르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