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230이면 얼마짜리 전세를 들어가야 할까요?
월급이 평균적으로 세후 230됩니다
모은 돈은 1300정도이고
전세집 가격을 6천 7천 정도 생각했으나, 택도 없는 금액 같아서요
갚으려면 4 5년은 걸릴 거 같은데..
4천도 빠듯할 거 같기도 하고요
제 천만원 + 은행에 3천 대출받아서
4천짜리 전세집에 보증금으로 4천내는 거죠
그런데 비상상황이 생길 수 있으니까
130만원씩 상환하고
30정도 생활비하고 100만원 남겨서 저축하면 어떠려나요?
130만원 x 12개월 x 2년 = 3120 만원 > 은행 전세자금대출 갚음
4천도 빠듯한 것일까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어디 사시는지는 모르겠지만 3,000에서 4천만 원짜리 집은 많이 있습니다 인천이나 일산 경기도에도 찾아보면 있는데요
참 특이하게도 돈을 한 곳에 묶어두면 예를 들면 전세금을 내고나면 꼭 목돈이 필요할 때가 생길 수가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또 대출을 받아야 하고요 그래서 어느 정도는 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거를 메꾸기 위해서 또 대출을 받아야 하거든요 그래서 너무 당장에 전세를 구하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 목돈은 가지고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구체적 상황을 잘은 모르겠으나, 요즘 전세대출 금리가 저렴한 상품이 많아서
이런 경우 전세금을 갚는 것보다는 그냥 이자를 상환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에 이자를 어느정도 낼 것인지를 정하셔서 보증금 수준을 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매매가 아니기 때문에 굳이 보증금을 상환하실 필요성이 없습니다.
예로, 중기청이나 버팀목 상품의 경우 상황에 따라 금리가 1%~2%대에도 대출이 가능합니다.
이에 1억을 대출받아도 월에 10만원대로 이자를 납입하시면 됩니다.
위 상품의 경우 1억 전세집의 경우 보통 80%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즉, 1억 전세 기준 2천만원만 보유하고 계시면 됩니다.
지금 천삼백이 있다고 하셨으니 그에 맞춰 보증금을 조절하시거나,
나머지 부족한 금액만 추가적으로 조달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연 소득의 3~4배정도를 전세금으로 설정하시는 것이 적당합니다.
그렇기에 4천이 보증금은 전세집을 들어가는 것은 매우 안정된 보증금 설정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세자금은 원금을 갚는것이아니라 이자를 매달 내는 형식이 많기 때문에
130만원씩 상환하실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이자만 내시면 10~20내외로 해결되실 것 같아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