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가와 지정가의 가격차이가 많이 나나요?
주식이나 가상화폐 매수나 매도시 시장가는 즉시 매수나 매도가 가능하나 가장 비싼가격에 매수하고 가장 싼 가격에 매도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지정가와 가격차이가 많이 나는지요? 또 지정가로 매도나 매수가 안되면 다음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냥 시장가로 전환을 하여야 하는지 또 그 간격은 얼마나 되는건지요?
그리고 지정가는 그 기준을 어느정도 잡아야 하는지요? 초보여서 질문드리니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가 주문은 즉시 체결되는 장점이 있지만, 가장 비싼 가격에 매수하고 가장 싼 가격에 매도하게 됩니다. 반면, 지정가 주문은 사용자가 원하는 가격에 거래를 설정할 수 있어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시장 상황에 따라 지정가와 시장가의 가격 차이가 클 수 있으며, 특히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더욱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만약 지정가 주문이 체결되지 않는 경우, 다음 단계로 시장가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현재 시장 가격에 따라 즉시 거래가 이루어지지만, 예상보다 불리한 가격에 체결될 위험이 있습니다. 지정가와 시장가 간의 간격은 시장의 유동성에 따라 달라지므로, 특정한 수치로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지정가를 설정할 때는 현재 시장 가격을 기준으로 약간 높거나 낮은 가격을 잡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초보자라면 시장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최근의 가격 변동을 고려하여 적절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주요합니다.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가와 지정가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습니다. 물론 지정가를 얼마로 설정하냐에 따라 차이가 날수는 있겠지만, 자신이 지정가를 현시세 근처에 잡아놓으면 시장가와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또한, 지정가로 매수와 매도가 안되면 다시 지정가를 풀어 다른 지정가를 설정하거나 시장가로 바꾸시면됩니다.(바로바로 가능합니다.) 지정가의 기준을 잡는 방법은 개인의 투자 견해 차이인데, 저는 현재 거래가 되는 가격에서 3틱 이내로 매수 또는 매도로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가는 바로 체결을 하기 때문에 당장 체결을 위해서 매도호가와 매수호가 잔량이 있는 가격대로 바로 주문이 들어가 체결이 됩니다
즉 매도호가와 매수호가 잔량이 유동성이 풍부하여 매도호가 젤 마지막 잔량이 10100원 매수호가 잔량이 10050원이라면 시장가매수 주문시 10100원으로 들어가서 바로 체결되므로 지정가로 바로 체결하는거와 크게 차이나는 구조가 아닙니다
그러나 유동성이 적어서 매수호가 잔량이 10000원에 100주만 있고 젤 마지막 매도호가 잔량이 10300원에 10주만 있는 상황이라면 이때 시장가 매수를 100주로 하게되면 10300원이 10주 체결하고 나머지 90주를 그위에 쌓인 매도호가 잔량이 10400원 50주 그다음 10500원 40주라면 이 90주가 체결되는 방식인겁니다
이럴경우 시장가매수시 다소 비싸게 매수할 가능성오 높아 이럴때는 지정가 매수가 유리할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시장가와 지정가의 가격 차이가 많이 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장가와 지정가는 투자자가 지정가를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서
가격차이가 상당할 수도 차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주식이나 코인이라 거래대금이 얼마 없는 주식이나 코인들은 매수 매도 호가 갭이 커서 지정가 매수랑 시장가 매수랑 가격차이가 꽤 날수 있습니다
일단 내가 사고 싶은 가격을 정해서 매수하는게 지정가 매수인데 이건 대중 없습니다 투자자 판단에 따른거죠
초보자시라면 조금더 공부를 해보시고 시작은 없어도 되는 돈으로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사실 지정가매수 시장가매수는 거래 조금만 하다보면 투자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수 있는 부분이거든요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시장가 주문은 현재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으로 즉시 거래를 성사시키는 방식입니다. 시장가주문으로 매수 또는 매도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가격이 급변동할 경우 예상보다 비싼 가격에 매수하거나 저렴한 가격에 매도될 수 있습니다.
반면, 지정가 주문은 투자자가 원하는 가격을 미리 설정하여 그 가격에 도달했을 때만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지정가는 시장가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두 가격 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시장 변동성이 클 때는 지정가가 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투자자는 시장가로 전환하여 즉시 거래를 성사시키거나, 기존 지정가를 조정하거나, 주문을 취소하고 새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가격 간격은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가격 변동성이 클 경우 지정가와 시장가의 간격이 커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가는 질문자님이 이해하신 개념이
맞습니다.
지정가는 내가 가격을 지정하는 것으로
해당 가격 등을 산정하는 것은 본인의 기준에 따라서
다른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가와 지정가는 주문 방식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장가는 즉시 거래가 체결되지만, 수요가 높거나 낮은 상황에서는 예상보다 높은 가격에 매수되거나 낮은 가격에 매도될 수 있어요. 지정가는 원하는 가격에 거래를 설정해두지만, 그 가격에 매칭되는 상대 거래가 없으면 체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정가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시장가로 전환하여 거래를 완료할 수 있지만 이때 가격 간격은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