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패러글라이딩124
패러글라이딩124

금리는 왜 계속 올라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패러글라이딩124 입니다. 금리를 인하시켜주다가도 올라갈때는 확 오르는 경우가 많은데 왜 갑자기 확 치고 올라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 우리나라 기준 금리는 최근 인하되었는데요. 약 2년 반 동안 상승 및 동결만 하다가 최근에 인하되어 곧 시장에 반영될 것입니다.(단 부동산 대출 금리는 부동산 가격 상승 억제를 위해 당분간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급격하게 오를 떄에는

    물가 상승폭이 과다하거나

    아니면 경기가 과열될 떄에

    금리를 급격하게 올리기도 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의 경우 기업의 실적 향상을 위해 금리인하의 경우 빠르게 반영하지 않지만 인상의 경우 선제적으로 빠르게 반영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은 기본적으로 물가안정입니다. 코로나 이후 물가가 급격하게 올라갔기 때문에 각국의 주요 중앙은행들이 추세적으로 금리를 급격하게 올린 배경입니다. 하지만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은 시장의 대출금리나 차입비용이 증가하게되고 이로인해서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들의 신규투자금이 줄어들게 되고 이자비용이 증가하면서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칠수가 있게 됩니다.

    즉 이런 경기침체와 실업률이 올라가는 흐름이 보이면 선제적으로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으로 기준금리를 따라서 지속적으로 낮추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것입니다.

    또한 금리는 외환시장과도 연관성이 있는데 시장의 금리가 인상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그만큼 채권이나 예금의 수익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본유입이 발생하면서 자국의 통화가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급격한 자국의 통화상승은 수출의 감소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신흥국들의 중앙은행과 정부는 이런 우려를 경계하여 기준금리 스탠스를 인하쪽으로 변경할수가 있습니다.

    즉 이런 실물경제와 외환시장 그리고 시장의 유동성환경에 따라서 금리는 시시각각변하게 되기 때문에 금리가 어쩔때는 계속 올가가고 어쩔대는 계속하락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아니면 초저금리를 오랫동안 유지하는것도 자국의 중앙은행이 엄청난 부양책으로 양적완화를 지속하게되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목격하게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미국 연준에서 기준 금리를 내리고 한국도 한국은행에서 지난주 11일에 금리를 인하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에서는 서울 및 수도권 부동산 집값 상승을 이유로 대출 규제에 나서고 있어 대출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상의 가장 큰 이유는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서입니다.

    물가가 너무 빠르게 오르면 경제가 불안해지고, 서민들의 생활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이를 막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조치를 취합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대출 이자가 비싸져 사람들이 돈을 덜 쓰게 됩니다.

    또한 기업들도 대출 이자가 비싸지면 투자를 줄이게 됩니다.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면서 물가 상승 속도가 늦춰지게 됩니다.

    금리가 크게 오르는 경우는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고, 경기 과열이 너무 심해질 때, 미국의 금리 인상시에 올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 금리가 계속 올라가는 것은 아닙니다.

    과거부터 장기간 보면 지금은 고금리도 아닙니다. 80년대에 일반 예금이자율이 10%넘었다는 얘기 들어보셨나요?

    과거에는 예금도, 대출도 고금리였습니다.

    지금 고금리라고해도 3%입니다.

    그리고 금리를 올렸던 이유는 물가가 너무 높아서 물가상승률을 잡기위해서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는 이유는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물가가 너무 빠르게 오르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사람들이 돈을 덜 쓰고 덜 빌리도록 금리를 올려 조정합니다. 금리가 갑자기 크게 오르는 경우는 예상보다 물가가 더 빠르게 오를 때, 중앙은행이 빠르게 대응하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금리 인상을 통해 물가 상승을 억제하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내리는 것에 대한 사회적 혼란이 야기되는 점을 금융당국에서 인식했고, 다른 나라와의 금리차이를 일정수준 유지해야 수입과 수출시에 혼란이 줄어들기에 맞춰서 간다고 그렇게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차이가 다른나라마다 난다면 캐리 트레이드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