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종합부동산세 이미지
종합부동산세세금·세무
종합부동산세 이미지
종합부동산세세금·세무
도라지1004
도라지100423.11.13

재산세는 집 가격마다 많이 달라지는 건가요?

제가 내년에 집을 살 것 같은데요 그런데 재산세가 너무 걱정인데 재산세는 어떻게 책정이 되는 건가요 집 가격마다 높으면 더 많이내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


    재산세는 공시지가, 표준시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순하게 집가격이 오르면 재산세가 오른다고 알고계셔도 됩니다.


    1가구 1주택 9억 이하주택이라면 재산세율 인하 특례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승훈 회계사입니다.

    재산세는 6월 1일 기준으로 토지, 건축물, 주택, 항공기 및 선박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말씀하신 주택은 시가표준액의 40%~80%(과세표준)를 하기의 세율을 적용합니다.

    다만, 9억 이하의 1세대 1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시가표준액의 30%~70%(과세표준)를 하기의 세율을 적용합니다.

    참고로 재산세는 따로 신고를 하지 않아도 관할지방자치단체에서 부과/징수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고대철 세무사입니다.

    당연히 집값이 비쌀수록 재산세도 올라갑니다.

    다만 재산세는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집값(시세)와는 관련이 없고 개별공시지가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규 회계사입니다.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는 주택의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이 매겨집니다.

    종합부동산세의 경우 1세대 1주택자는 12억원까지는 세금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주택 재산세는 해당 주택의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하기 때문에 공시가격이 높다면 재산세부담도 늘어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재산세는 보유하고 있는 주택의 공시가격 및 주택 수를 기준으로 부과가 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