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혈관 봉합을 안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요?
2주전에 내측 하퇴쪽이 다쳐서 경골 골절,후경골근 및 건이 파열됐고,정맥도 손상됐습니더. 현재시점에서 복사뼈 아래 부분에 든 멍이 잘 안빠지는 것 같고 붓기도 그런 것 같습니다. 혹시나 해서 그런데 혈관 봉합을 안하면 저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동맥혈관 손상시 혈관압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혈관 수술이 필요합니다. 방치시 지속되는 실혈로 인한 쇼크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동맥이 봉합을 요할 정도로 손상되었는데 봉합되지 않는다면 수 시간 내로 손상부위가 부풀어올라 혈종이 형성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동맥이나 정맥과 같은 혈관이 손상되었을 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동맥의 경우 혈액이 신체의 각 조직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하는 주요 통로이기 때문에, 동맥 손상은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동맥이 손상되면 강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맥은 높은 압력으로 혈액을 운반하기 때문에, 손상 시 심각한 출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
골절이나 근육손상 같은 것들을 입게 되면 주변의 미세 혈관들이 다치면서 피하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람은 대부분 서서 생활하기 때문에 이런 피하출혈들이 중력으로 인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다친 곳보다 아래쪽으로 멍이 드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죠. 이런 것들은 대부분 크게 문제되는 경우는 없으며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정말 혈관봉합이 필요할 정도의 혈관 손상이었다면 다리가 감각소실, 운동마비, 괴사 등의 증상이 나타났을 겁니다.
혈관을 봉합하지 않아서 증상이 나타났다고 보기에는 근거가 부족합니다. 혈관을 봉합하였더라도 언급하신 정도의 손상이라면 멍이 들고 붓기가 심한 것은 당연히 생길법한 증상일 것으로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