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그래도우유부단한땅강아지
그래도우유부단한땅강아지

개회충 양성이면 치료해도 평생 양성으로 뜨나요?

1.”알벤다졸은 개회충을 포함한 여러 기생충에 효과적인 약물이나 알(난자) 자체를 직접 사멸시키지는 못하고 다만 성충을 죽임으로써 추가적인알 생성을 막아 감염 확산을 방지한다“라고는데 (난자)자체를 사멸시키지 못한다는 말은 알(난자)이 인체 내에서 살아 부화되어 성충으로 자랄 있다는 뜻으로 알벤다졸이 (난자) 죽이지는 못해도 성충과 유충은 죽이니까 (난자) 안죽고 살아 남게 된다해도 인체내에서 부화되어살아갈 있는 아니죠? 결국 알(난자)이 남아도 유충으로 자라지 못하고 인체내에서 죽죠?

2.그리고 죽은 성충,유충,알(난자)등은 배설및 서서히 자정작용 통해 인체에 남지 않죠?

3.알벤다졸을 대략 얼마 만큼 어느 기간동안 먹어야 개회충을 모두 죽이고 양성에서 음성으로 벗어날 있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이 여러개라서 각각 답을 드리면..

    1. 알벤다졸은 개회충 알을 직접 사멸시키지는 못하지만, 알이 체내에서 부화하여 성충으로 자랄 수 없게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 알벤다졸은 성충과 유충을 죽이는 데 효과적이며, 성충이 죽으면 새로운 알을 낳을 수 없게 됩니다. 약물에 의해 직접 죽지 않은 알이라 할지라도, 이 알은 대개 환경으로 배출되거나, 인체 내에서는 부화하여 유충으로 성장하기 어려운 것이죠. 따라서 알이 인체 내에 남아있더라도 유충으로 자라지 못하고 결국 사멸하게 되는 것입니다.

    1. 죽은 성충과 유충, 그리고 사멸한 알 등은 대부분 배설 과정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또한, 인체의 자정 작용을 통해 분해되어 흡수되거나 배출되므로, 체내에 계속 남아있지는 않습니다.

    2. 개회충 감염의 경우, 알벤다졸의 정확한 복용량과 기간은 감염의 심각성, 환자의 건강 상태, 그리고 의사의 진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벤다졸은 개회충 감염 치료를 위해 1일 400mg을 1회 복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며칠간 연속으로 복용할 수도 있죠.

    양성에서 음성으로 전환되는 데 걸리는 시간도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약물 복용 후 수 주 이내에 기생충이 크게 감소하고, 검사상 음성으로 전환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개회충의 알은 인체 내에서 부화하거나 성충으로 자랄 수 없고, 알벤다졸로 유충과 성충을 죽이면 추가 감염은 발생하지 않으며, 죽은 유충과 성충은 자정작용으로 처리됩니다. 치료 후에도 항체가 오래 남아 수개월에서 1~2년간 혈청검사에서 양성이 지속될 수 있지만 이는 실제 감염이 아니라 기억면역 반응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개회충 감염 후 알벤다졸로 치료해도 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이는 죽은 기생충이나 알의 잔해에 대한 면역 반응이 지속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알벤다졸은 기생충의 성충과 유충을 사멸시키지만, 알 자체를 직접적으로 죽이지는 못하며, 체내에 남은 알은 부화하지 못하고 결국 사멸하여 배설되거나 자정 작용을 통해 사라집니다. 치료 기간은 개회충 감염의 심각성 및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정확한 용법과 기간은 수의사와 상담하여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