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국내에서 투자중인 바이오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국내에서 자금을 투입해서 바이오 기업 활성화 정책을 펼치는걸로 알고 있는데, 실제로 성과는 무엇인가요? 바이오 산업의 어떠한 분야에 투자를 하고 , 신약이나 성과가 있나요? 기술수출의 결과나.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게 투자하고 있는 분야는 신약 개발과 바이오의약품, 디지털 헬스케어, 재생의료, 그리고 CDMO(위탁개발생산) 등입니다. 특히 AI를 활용한 의료 솔루션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 기술 수출 규모가 크게 증가했는데, 이미 2025년 상반기에만 약 8.6조 원을 달성하며 10조 원 돌파를 앞두고 있죠. 또한 일부 기업의 신약 개발 소식이 많이 들려오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물론 바이오 산업 특성상 장기적인 투자와 '죽음의 계곡'이라 불리는 자금난의 어려움도 있지만, 정부 지원과 기업들의 노력으로 한국 바이오 산업은 글로벌 경쟁력을 어느정도 갖춰가고 있습니다.

  • 국내에서는 바이오 의약품, 디지털 치료제, 인공지능(AI) 기반 진단 및 치료 기술 등 다양한 바이오 분야에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진단 키트,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역량이 집중되었고, 이 과정에서 국내 기업들의 기술력이 향상되었습니다. 주요 성과로는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 HK이노엔의 케이캡 등이 국산 신약으로 개발되었고,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역량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기술수출 측면에서도 2024년 상반기에만 약 4조 7천억 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이 체결되었으며, 2025년 상반기까지 8조 6천억 원의 기술수출이 달성되어 10조 원 돌파가 임박한 상황입니다. 이는 국내 바이오 기업의 기술력과 시장 가치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국내에서는 신약 개발, 바이오시밀러,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DMO), 유전자 및 세포치료제, 백신 등 다양한 바이오 분야에 정부와 민간이 활발히 투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천기술 부족과 임상 실패 등 한계도 존재해, 장기적 기술력 확보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