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금시 태그나 메모적는 칸이 없어도 보내지나요
출금시 메모나 태그를 적는 코인들이 많은데 주소뒤에 띄여쓰고 붙이는게 자동으로 메모나 태그로 인식을 하게되나요? 고유주소가 있는데 메모나 태그가 또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출금시 태그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데스티네이션 태그(Destination Tag)란?
리플지갑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로 "입금태그" 또는 "출금태그"라고도 부릅니다.
리플은 다른 블록체인과 다르게 고유 출금주소와 함께 추가로 태그를 사용하여 해당 암호화폐의 소유주를 구분합니다.
일종의 우편발송시 사용하는 우편번호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거래소 정책에 따라 꼭 입력하여야 합니다.
데스티네이션 태그를 사요하는 블록체인으로는 "리플(XRP)", "넵XEM)", "스텔라루멘(XLM)", "모네로(XMR)", "어큐트앵글코인(AAC)" 등이 있습니다.
메모도 태그와 같은 역할을 하며 일반적인 암호화폐 출금일 경우 태그(메모)를 작성하지 않아도 무관합니다. 태그(메모) 작성은 사용자가 해당 암호화폐 출금 내용을 기록하여 확인하는 용도이므로 필요가 없다면 작성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리플등은 테그를 필수로 입력해야 합니다. 거래소마다 전송되는 메모도
검증절차에 필요한 부분이면 무조건 입력해야 하구요,
그냥 아무의미없는 메모라면 무시하셔도 됩니다.
리플등의 거래전송시는 데스트네이션 테그를 입력해야 합니다.
이는 전송시의 입출금 식별코드로 사용되며 지갑의 유무등
검증단계시 필요한 절차입니다. 리플외에도 이더리움등을 전송시는
메모를 남기기도 합니다.
이더리움 계열의 블록체인을 거래할때는 거래 주소외에
각종 메모를 남길수 있습니다. 메모는 16진법으로 기록되지만
uft-8방식으로 인코딩하면 읽을수 있는 문자로 변환됩니다.
개인간의 거래에선 적지 않아도 되지만 거래소와의 거래에선
거래원장의 분류 및 누가 입금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분류기호처럼 사용됩니다. 그래서 꼭 기재해야 합니다.
거래소 지갑은 대표지갑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다반사라
이 메모로 입급을 분류합니다.
이 메모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메모를 통해 성추행,자살사건등 여러종류의 사건등을
올리기도 합니다.
누군가에게 전하는 전달 메세지로도 사용가능 하단
의미입니다. 간혹 사회적인 저항의 메세지를 넣기도 합니다.
나만의 메세지를 담기도 하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