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시크한크낙새72
시크한크낙새72

20개월 아이의 식사예절교육을 어떤식으로 알려줘야 할까요?

아이의 식사하는 시간이 정신이 없어요.. 돌아다니고 티비보고 먹고싶은것만 먹고 아니면 뱉어냅니다. 이 3가지가 제일 큰문제인데 어떻게 교육을 시켜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의연한멧돼지241
    의연한멧돼지241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음식을 뱉어내는 것은 당장 훈육하기는 어렵지만

    돌아다니고 티비를 보려고 하는 것은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시며

    훈육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은 아이가 말씀하신 3가지 행동을 한다면

    조금 단호하게 그러한 행동을 하지 말라고

    훈육을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가 울고 떼를 쓴다고

    요구를 들어주시면

    훈육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한 입 먹고 돌아다니고 또 한 입 먹는 아이는 재미있는 놀이로 생각할 수 있어요

    그래서 한 입 먹고 놀고 또 주면 먹고 놀고 이렇게 순환이 되는 거지요

    이럴 땐 아이에게 자리를 뜨면 치운다 라고 강하게 경고를 하셔야 합니다.

    한 끼 굶기는 걸 각오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식사 자리를 뜨지 않을 때 충분히 칭찬해주셔야 합니다.

    힘들었을텐데 바르게 앉아 있구나!

    앉아서 밥을 먹을 때마다 격려를 해주세요

    밥을 다 먹어서 키가 아빠보다 더 커질꺼야!

    잘했어! 우리아이가 최고야!

    아이가 앉아서 밥을 먹을 때마다 지금 한 행동이 아주 바람직하다는 것을 느끼게 해줘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밥을 잘 안먹고 식사시간이 지나치게 긴 아이들의 경우 정해진 시간 내에서만

    식사를 하도록 하고 시간이 지나면 식사를 과감하게 치우는 방법을 권합니다.

    아이에게 설명해준 것처럼 식사 후 얼마 지나지 않아서 배고프다거나 다른 음식을 찾

    는다면 더 이상의 음식을 제공하지 않는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식사습관이 정착된다면 아이의 편식습관은 고쳐질 것이니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생후 13~24개월 식사예절을 익히고 식사 시간의 개념 알기 가족과 함께 식사하며 식사예절의 기초를 만드는 시기이므로 엄격한 식사예절보다 부모가 모범을 보이며 식사 법을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밥 먹기 전 손을 씻기고 부모가 먼저 “잘 먹겠습니다”, “잘 먹었습니다” 등의 인사를 해 아이가 기본적인 식사예절을 익히게 해주세요. 부모의 행동을 보며 배울 수 있도록 같은 식탁에서 식사해주세요. 하루 세끼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게 되는 때 이므로 식사 시간 안에 먹지 않으면 음식을 치워버리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아이 스스로 식탁에 앉아 밥을 먹게 하려면 식사 시간이 지나면 밥을 먹을 수 없다는 것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식사를 할 때에는 식사에만 집중하게 하시길 바랍니다.

    아이가 식사에 집중하지 않는다면 놀이 등에 제한을 두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아이가 먹기 싫은 음식도 잘먹는다면 이에 대한 칭찬과

    포상 등을 하셔서 식사의 즐거움을 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환경을 제거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식사를 방해할만한 환경을 없애주는것이 좋으며

    이때는 훈육을 하기에 어린나이이기에

    훈육보다는 자리에서 먹는 정도로만 해주시는것이 좋으며

    식사에 관련된 책을 읽어보면서 알려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