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나는 언제나 당신의 편입니다.
나는 언제나 당신의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우리나라는 아이들에게 무조건 다해 주잖아요? 미국인 11살 이후 독립심을 위해 여러가지를 스스로 할 수 있게 합니다. 무엇이 좋다고 생각하세요?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우리나라는 아이들에게 무조건 다해 주잖아요? 미국인 11살 이후 독립심을 위해 여러가지를 스스로 할 수 있게 합니다. 무엇이 좋다고 생각하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우리나라와 외국 나라의 육아방식은 차이점은 있겠고

    부모님의 가치관에 따라 자유롭게, 부드럽게, 유연하게, 강압적이게 등등 다양한 형식으로 아이들을 교육, 지도, 케어를 하고 있는데요.

    아이의 독립심은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시기 부터 교육을 시켜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그래야 사회생활을 하면서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생활로 자신의 생활을 증진 시킬 수 있기 때문 입니다.

    부모님이 무조건적으로 다 해주는 습관을 형성 되어진다면 아이는 자신의 독립심을 키워가긴 보다는 부모님에게 의지 하려는 성향이 높아지면서 자존감이 낮아지는 아이로 성장하게 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우선 아이에게 무조건 다 맞춰주고 해주다보면 아이 자립심 형성에 좋지 않습니다 스스로 하도록 유도를 많이 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이상적인 교육 방식은 양쪽의 장점을 결합하는 것입니다. 즉 아이에게 필요한 지원과 사랑을 주면서도, 독립적인 성장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아이의 성격, 환경, 상황에 따라 어떤 방식이 더 적합할지를 고려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한국은 아이에게 많은 것을 해주고 지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느끼게 해줍니다. 하지만 지나친 보호는 아이가 독립성을 기르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한국은 성취와 경쟁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우리나라라고다해주지않아요

    외국이라고다독립적이지않습니다.

    뭐가좋은지는 각자장단점이있으니

    절충하셔야됩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무조건 다 해주는 방식과 독립적인 삶을 촉진하는 방식은 각각 장단점이 있습ㄴ디ㅏ

    먼저 한국에서는 아이들에게 많은 것을 해주는 경향이있지만 이는 부모가 자식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한국은 부모의 교육적 열정이 높고 자녀의 성취를 매우중요하게 여기는 문화적 특성이 있습니다 부모가 아이들에게 많은 것을 제공하고도와주는 것이 아이의 성공을 위해서 필요한 부분으로 여겨지기도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잘못될 경우 아이는 부모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커질 수 있습니다 부모가 모든것을 해줌으로써

    아이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어려움을 극복하는 경험이 부족해질수있습니다

    이럴 경우 아이는 자립심을키우는 데 어려움을 겪고 책임감이나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장애물이 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무조건 다 해주는 방식과 아이가 스스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도록 격려하는 방식 각각에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두 가지 접근 방식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각각의 방식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면, 자녀의 성격이나 상황에 맞는 균형 있는 접근을 찾을 수 있습니다.우리나라에서는 부모가 아이의 생활을 세심하게 챙겨주고, 자녀의 필요를 다 채워주는 경향이 강한데요, 이는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부모와 자녀 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독립성을 기르는 방법은 매우 중요하지만, 그 시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과 부모의 지지가 필요한 일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면, 독립적이고도 정서적으로 안정된 성격을 기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점차 자신감을 가지고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을 늘려가면서, 부모는 그 과정을 지지하고, 아이가 필요한 부분에서 지지와 격려를 아끼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독립심을 위해서 바로 이러한 것들을 생각을 해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