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는 어떤 종류로 나뉘어지는지 답글 바랍니다!
쥐는 어떤 종류로 나뉘어지나여? 크게는 몇 종류로 나뉘어지고 좁게는 몇 종류로 어떤 종류가 있는지 답글 바랍니다! 그리고 무슨 종류로도 분류되는지도 답글 바랍니다!
쥐는 먼저 크게 가주성 쥐와 들쥐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주성 쥐는 사람의 거주지나 건물 주변에 서식하며 사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쥐들을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쥐들로 위생적인 문제나 곡물 피해 등을 일으킬 수 있어 해수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들쥐는 야외, 즉 들판, 산림, 농경지 등에 서식하는 쥐들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주성 쥐 3종이 대표적입니다.
먼저 시궁쥐, 즉 집쥐는 우리나라에서 가주성 쥐 중 가장 흔한 종류로,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합니다. 몸길이 18~25cm, 꼬리 길이 15~21cm로 꼬리가 몸길이보다 짧은 경향이 있으며 덩치가 크고 뭉뚝한 주둥이, 작은 눈과 귀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수영 능력이 뛰어납니다.
그리고 곰쥐, 즉 지붕쥐는 몸길이 16~20cm, 꼬리 길이 19~25cm로 꼬리가 몸길이보다 긴 것이 특징입니다. 뾰족한 주둥이, 크고 돌출된 눈, 큰 귀를 가지고 있고 주로 항구도시 주변이나 고층 건물, 대형 건물에서 발견됩니다.
마지막으로 생쥐는 몸길이 6.5~9cm, 꼬리 길이 6~10.5cm로 시궁쥐나 곰쥐보다 훨씬 작지만 매우 큰 귀와 작은 몸집이 특징입니다. 집안 곳곳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간혹 시궁쥐나 곰쥐의 새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죠.
또 들쥐의 한 종류로 등줄쥐가 우리나라에는 흔하게 분포하며, 등 쪽에 검은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마지막으로 쥐는 생물학적 분류 체계에 따라 동물계 - 척삭동물문 - 포유강 - 쥐목 - 쥐과 - 시궁쥐속(시궁쥐, 곰쥐 등), 생쥐속, 등줄쥐속 으로 나뉘고 마지막으로 각 개별 쥐의 종으로 나뉩니다.
정리하자면, 쥐는 크게 가주성 쥐와 들쥐로 나뉘며, 한국에서는 가주성 쥐 중 시궁쥐, 곰쥐, 생쥐가 대표적입니다. 생물학적으로는 동물계-척삭동물문-포유강-쥐목-쥐과로 분류되며, 그 아래로 다양한 속과 종으로 세분화됩니다.
쥐는 생물학적 분류 체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뉩니다. 크게는 포유강 설치목에 속하며, 그중에서도 쥐과(Muridae)에 가장 많은 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쥐과에는 약 5개의 아과와 140속 650여 종이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시궁쥐속, 생쥐속 등이 있습니다. 국내에는 주로 생쥐, 시궁쥐(집쥐), 지붕쥐(곰쥐), 등줄쥐 등이 분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