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빼어난매109
빼어난매109

사대보험 월급에서 얼마빼는건가요?

월급이 260인데 사대보험 빼면 얼마인가요 계산법도 알고 싶은데 260으로해서 계산법도 알려주세요 적용가능해야 할것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

    세전 월급 260만원에서 별도의 비과세수당이 없고, 부양가족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세후급여는 약 2,312,060원이며,

    비과세수당 여부에 따라 정확한 세후 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는 국세청근로소득간이세액표를 이용해 계산 가능하며,

    4대보험료는 4대보험료 모의계산 프로그램을 이용해 계산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4대보험료 근로자 부담분은 대략 9.4% 정도 됩니다. 4대보험료율을 검색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세전 2,600,000원이라면 국민연금 (4.5%) 117,000원, 건강보험 (3.545%) 92,170원, 요양보험 (12.95%)

      11,930원, 고용보험 (0.9%) 23,400원, 근로소득세 (간이세액) 39,690원, 지방소득세 3,960원으로 계산하여

      월 예상 실수령액 2,311,850원으로 산정이 됩니다.

    2. 질문자님의 경우 네이버에 실수령액 계산기로 검색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세전 금액만 넣으면 자동으로

      산정이 됩니다.

    3.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백승재 노무사입니다.

    네. 변수가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직접 해보시기 바랍니다.

    월급계산기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0&ie=utf8&query=%EC%9B%94%EA%B8%89%EA%B3%84%EC%82%B0%EA%B8%B0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임금구성항목 중 비과세 항목인 식대 등이 있는지 알 수 있어야 정확한 계산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월급의 10% 정도가 4대보험 및 세금으로 공제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