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으로 식품을 배송하고 싶습니다. 아마존 창고에 입고하려고 하는데 특송만 가능할까요?
식품을 취급해주시는 포워딩사가 별로 없네요..
우선 식품은 특송만 가능하다고 하는데 <- 이게 맞나요?
식품은 목록통관이 되지 않아서, 포워딩사의 배송상품(아마존 입고 합배송 상품 등..)을 이용하지 못한다고 안내를 받고 있는데요.
식품을 미국으로 배송하는 가장 저렴한 방법도 궁금합니다.
해상으로 보내는것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식품의 경우 물품 특성상, 신선도와 보관방법 등이 예민한 상품이기에 신속한 배송을 위한 특송이 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운송업체별로 상이하기에 항공운송으로도 식품 취급을 대행하는 업체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식품의 경우 수입 시 검역 요건 등이 존재하기에 합포장은 어려울 수 있으며 가능한 특송 또는 항공 운송을 통하여 수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가장 저렴한 방법의 경우 운송 업체 단가별로 상이하기에 전문 식품 수출 대행 업체를 통하여 진행하시는 것을 권고 드립니다.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1. 한국산 식품류를 일반수출화물로 미국으로 보낼 경우 운임이 비싼 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운송방법이나, 운임이 싼 선박편을 이용한 해상운송방법이 있으나, 식품류는 장기간 운송에 따른 변질 우려가 높아 특수한 냉동컨테이너로 운송해야 하고, 식품류를 수출할 경우 미국쪽 수입자가 식품검역을 받아야 하는데, 필요한 수출국 한국정부가 발행한 식품검역증이나 위생검역증을 요구하므로, 이를 발급받아 송부해 주어야 합니다.
2. 특송화물로 식품류를 보낼 경우에도 우리나라와 같이 미국쪽 수입자가 식품류에 대하여 식품검역증 등 수입요건구비대상으로 미국세관에서도 목록통관이 되지 않고 일반수입신고를 해야 된다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똑같이 식품검역증을 발급받는데 많은 애로사항이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3. 가급적 한국산 식품류를 미국으로 직접 수출하는 것을 권장해 드리고 싶지 않으며, 전문적인 식품류 수출회사에 수출대행의뢰하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식품검역문제로 인하여 아마존 판매시에도 그러한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현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더 많은 도움이되실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580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식품의 경우에는 말씀하신대로 보존상의 문제로 특송으로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때 목록통관은 어렵기 때문에 정식수입신고절차 및 수입요건을 갖추셔야 됩니다. 다만, 대량으로 운송하는 경우에는 보다 저렴한 컨테이너 해상운송도 가능하지만 이 역시도 냉장컨테이너를 사용하기에 비용이 만만치 않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오히려 소량의 경우에는 특송이 가장 저렴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은 주마다 법이 다르기때문에 식품에 대하여 여러가지 요건을 갖추셔야됩니다. 이에 대하여는 미국 쪽 관세사분들과 상의해보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아마존 FBA(Fulfillment by Amazon) 창고에 식품을 입고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특송(에어로 배송)을 통한 운송이 권장됩니다. 해상운송은 상품의 유통 기한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주로 빠른 배송을 위해 특송이 사용됩니다.
아마존은 다양한 운송 옵션을 제공하며, 특송 서비스를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배송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식품을 아마존 FBA 창고에 입고시키기 위해서는 특송을 통한 운송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운송 방법과 제약 사항은 아마존의 정책과 해당 국가의 관련 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실제 운송 시 아마존의 가이드라인을 참조하고 해당 국가의 관세 및 수입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