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이열치열이 과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말인가요

더울때 차가운것을 먹는것보다 뜨거운것을 먹는게 몸의 열을 낮추는데 다 도움이 되는지 궁금한데요 즉 이열치열이라는말이 과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열치열이라는 말은 과학적으로 어느 정도 근거가 있는 현상입니다. 뜨거운 음식을 섭취하면 체온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며 땀샘을 자극해 땀 배출을 촉진하게 됩니다. 이렇게 배출된 땀이 증발하면서 몸의 열을 빼앗아 체온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사실 과학적으로는 그다지 근거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체온이 상승하고 땀이 나는데, 땀이 증발하면서 체온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일시적으로 더위를 잊게 해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이 더위에 대한 일종의 대비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이열치열을 위해 땀을 많이 흘리면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특히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땀이 잘 증발하지 않아 체온 조절 효과가 미미한 반면, 수분 손실은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소화 기능이 떨어지기 쉬운데, 뜨겁고 자극적인 음식은 소화 기관에 부담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열치열의 효과는 개인의 체질, 건강 상태, 외부 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열치열은 발한 작용을 통한 일시적인 체온 조절 효과나 심리적인 만족감을 줄 수도 있지만, 그 부작용이 더 클 수 있어 완전히 과학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이열치열'은 과학적으로 일정 부분 근거는 있습니다. 땀을 통해 열을 식히는 인체의 자연스러운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만, 환경과 체질에 따라 편차가 있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맞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