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통쾌한다슬기196
통쾌한다슬기19623.11.04

바이러스 세균 차이는 무엇인가요?


항생제와 항바이러스제가 세균과 바이러스에게만

반응한다고 들었습니다.

왜 그런건가요?

바이러스에 항생제를 놓으면 왜 효과가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세균은 하나의 세포이지만 바이러스는 크기가 작은 DNA 또는 RNA가 단백질 외피에 둘러 쌓여 있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세균은 온도, 습도, 영양성분 등이 적당하다면 자체 증식 가능하지만 바이러스는 반드시 숙주가 존재하여야만 증식이 가능합니다.

    세균에 의한 발병은 일정 수 이상의 증식 이후 발병이 되는데 반해 바이러스는 미량으로도 발병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세균은 항생제 등을 사용하여 치료 가능 하며 일부 균은 백신이 개발되어 있지만 바이러스는 변이가 심해 일반적인 치료법으로는 치료가 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치료법이나 치료약물의 변경이 필요합니다.


  • 바이러스와 세균은 둘 다 대표적인 병원체이며, 인체에 유입되었을 때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항원으로 작용합니다. 다만 바이러스는 엄밀히 말해서 생물이 아닙니다. 바이러스는 스스로 독립적인 증식을 할 수 없으며, 숙주세포가 있어야만 증식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세균은 원핵생물에 속하고요. 바이러스에 항생제를 넣어주어도 효과가 없는 이유는 항생제가 표적으로 하는 물질을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와 세균은 질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체입니다. 그런데 이 둘은 병을 유발한다는 공통점 말고는 차이점이 굉장히 많습니다.

    ​일단 구조에서 부터 차이가 있는데요, 세균은 하나의 독립된, 세포로 이뤄진 생물입니다. 세포막과 세포벽, 핵, 단백질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반면 바이러스는 구조가 단순한데요. 중간에는 유전정보가 들어있는 핵이 있고 이를 단백질이 둘러싸고 있는게 전부입니다.

    그래서 바이러스는 세포라고 볼 수 없습니다.

    항생제는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것은 아니므로 감기, 인후염, 독감 등에는 항생제가 쓰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