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살때는 정해진 가격으로만 살 수 있나요?
그러니까 주식창 매도/매수창을 보면 가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정해져 있잖아요. 이를테면 5000, 5500, 6000 이렇게요. 근데 제가 그 사잇값 5200원 이렇게 지정해서는 못사나요?
안녕하세요
주식 매수시 호가창에 보시면 금액에 따라 호가단위가 달라서 정해진 호가 가격에서만 매수 매도가 가능하십니다.
작년 1월 변경 된 기준에 의하면
1주당 가격이 천원 미만이면 호가 단위 1원, 1~5천원이면 호가 단위 5원..... 만원~5만원이면 호가 단위 50원, 5만원~10만원 이면 호가 단위 100원 등
이런식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만약 호가 단위가 500원으로 정해져 있는 종목이라면 그 단위로만 살수있고, 5200원 이렇게는 주문이 불가능합니다.
다만 보통 500원단위 정도는 되려면 10만원은 넘는 종목일것 같습니다.
5천원대 종목이라면 호가 단위가 50원 단위일수도 있을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주식은 주식가격별로 호가단위가 정해져 있고 그 이외에 사이 가격에는 주문을 넣을수 없습니다 예로 1~5만원 사이 주가는 호가단위가 50원 단위입니다 그러니 50원 단위로만 매수매도를 넣을수 있고 10025원 사자 이렇게는 넣을수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떤 주식인지는 모르겠지만 100원단위로는 충분히 가능할거 같습니다. 아마 5200원을 제시하시면 질문자님의 호가가 새롭게 형성되고, 매매하려는 상대방이 매매하면 거래 가능할거 같습니다. 증권사 어플에 지정가로 선택가능한 단위로는 다 가능할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 거래소에서는 주식의 매도/매수 주문을 특정 가격으로만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000원, 5500원, 6000원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가격을 지정할 수 있지만, 중간값인 5200원과 같이 사잇값을 지정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주식을 매수할 때는 꼭 정해진 가격에서만 살 필요는 없습니다. 주식 매수나 매도 주문을 넣을 때 사용되는 가격 지정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지정가 주문과 시장가 주문입니다.
지정가 주문: 특정 가격을 지정하여 주문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 가격이 5000원에서 6000원 사이를 오가고 있을 때, 5200원에 사고 싶다면 5200원으로 지정가 주문을 넣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시장 가격이 5200원에 도달하면 매수가 체결됩니다. 다만, 시장 상황에 따라 주문이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시장가 주문: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가격에 즉시 체결되는 주문 방식입니다.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 주문을 넣기 때문에 빠르게 거래를 완료할 수 있지만, 예상치 못한 가격 변동에 의해 원하는 가격보다 비싸게 살 수도 있습니다.
지정가 주문을 사용하면 중간 가격(예: 5200원)으로 매수를 시도할 수 있으니, 원하는 가격대에서 주식을 매수하고 싶다면 이 방법을 활용하면 됩니다. 주식 투자는 항상 시장의 변동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신중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주식 매매 방식에 대해 궁금하신가요? 주식 매매에는 시장가 주문과 지정가 주문,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시장가 주문은 현재 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주문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주문을 내는 즉시 매수/매도 호가에 매칭되어 체결됩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빠르고 간편하게 주문을 체결할 수 있고, 시장 상황을 신속하게 반영하여 매수/매도를 즉시 실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원하는 가격에 체결되지 않을 수 있고, 시장 변동성이 큰 경우 불리한 가격에 체결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지정가 주문은 원하는 가격을 지정하여 주문을 내는 방식입니다. 매수 지정가 주문은 지정한 가격보다 낮거나 같은 가격에만 매수되고, 매도 지정가 주문은 지정한 가격보다 높거나 같은 가격에만 매도됩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원하는 가격에 주문을 체결할 수 있으며, 시장 변동성이 큰 경우 불리한 가격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지정한 가격에 매수/매도 호가가 맞지 않으면 주문이 체결되지 않을 수 있고, 시장 상황이 빠르게 변동하는 경우 원하는 가격에 체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5,200원에 주식을 매수하고 싶다면 5,200원의 지정가 매수 주문을 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만, 지정가 주문의 경우 지정한 가격에 매수/매도 호가가 맞지 않으면 주문이 체결되지 않으며, 시장 상황이 빠르게 변동하는 경우 원하는 가격에 체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주식 매매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으며, 주식 매매는 여러 가지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투자하기 전에 충분히 공부하고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혹시 다른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주식을 살 때는 지정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주식창의 매도/매수창에서 보이는 가격은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으로, 투자자들은 이 가격을 보고 주식을 사고팝니다. 하지만 투자자가 원하는 가격이 시장 가격과 다를 경우에는 지정가 주문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가격으로 주식을 살 수 있습니다. 지정가 주문은 주식을 사고팔 때 원하는 가격을 지정하여 주문을 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주식창에서 5,500원에 주식을 팔고 싶다면 매도 창에서 5,500원을 입력하고 주문을 내면 됩니다. 이때 시장 가격이 5,500원보다 낮으면 주문이 체결되지 않고, 시장 가격이 5,500원보다 높으면 주문이 체결됩니다. 또한, 주식 시장에서는 장전 시간외 종가, 장중 시간외 종가, 장후 시간외 종가 매매 등 다양한 거래 방식이 존재하며, 각 거래 방식마다 주문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을 살 때는 해당 거래 방식에 맞는 주문 방식을 확인하고 적절한 가격을 지정하여 주문을 내야 합니다.
주식은 정해진 가격 틀 안에서만 거래할 수 있습니다. 가격은 일정한 간격으로 정해져 있는데 5,000원, 5,500원처럼 됩니다. 그래서 5,200원 같은 중간 값으로는 주문할 수 없습니다.
아닙니다. 주식과 같은 경우에는 해당 가격을 지정하여 매수를 해놓으시면 해당 가격에 도달하면 살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시장가로도 살 수 있습니다.
질문해주신 주삭 살 때에는 정해진 가격으로만 살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식 호가 창에서 호가 단위가 100원 단위를 지원하는 가격대라면
얼마든지 원하는 가격으로 주문을 넣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