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24.01.15

하늘은 왜 파란색을 띠고있는건가요?

하늘의 색깔은 왜 파란색인가요?

수많은 색깔들 중 왜 파란색인지 궁금합니다.

파란색을 띄기위한 조건들은 무엇인가요?

과학적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을 띠는 이유는 주로 대기의 산란 현상 때문입니다. 여기서 대기란 지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집합체를 말합니다.

    태양광은 다양한 색상의 빛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대기 입자와 상호작용할 때 더 강하게 산란됩니다. 대기의 주요 구성 요소인 질소와 산소 분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파란색 빛이 모든 방향으로 산란되면서 하늘에 파란색이 퍼지는 것입니다.

    이와 반대로, 빨간색과 같은 긴 파장의 빛은 대기 입자와의 상호작용이 적으므로 산란되지 않고 거의 직진하여 지표면에 도달합니다. 이로 인해 일출 또는 일몰 시간에는 파란색 빛이 산란되지 않고, 빨간색과 주황색 빛이 우리 눈에 더 잘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파장에 따라 보이는 색상이 다른데 낮에는 파란색이 파장에 따라서 제일 잘보인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의 색깔이 파란색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하늘의 색깔은 빛의 산란 현상에 의해 결정됩니다. 빛은 여러 색깔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파란색은 빛의 파장이 짧은 색깔입니다. 그래서 빛이 대기를 통과할 때 파란색 빛이 가장 많이 산란되어 우리 눈에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대기 중에는 물과 먼지 등의 입자들이 존재합니다. 이 입자들은 빛을 산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파란색 빛은 다른 색깔보다 더 산란되기 때문에 하늘의 색깔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파란색을 띄기 위한 조건은 빛의 파장이 짧은 색깔이고 대기 중에 산란되는 입자들이 파란색 빛을 더 많이 산란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조건들이 모두 충족되면 하늘은 파란색으로 빛나게 됩니다.

    이러한 과학적인 이유 외에도 우리 인간의 눈은 파란색을 가장 잘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하늘의 색깔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서 날아오는 태양빛은 지구 대기의 공기분자들과 부딪혀 반사되거나 굴절되고 산란됩니다.

    이 과정에서 남은 푸른색 빛이 우리눈에 들어와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빛은 파장마다 산란되는 정도가 다릅니다. 파장이 짧은 빛은 파장이 긴 빛보다 더 많이 산란됩니다. 태양빛은 가시광선, 즉 빨간색부터 보라색까지 모든 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빛이 대기 중의 공기 분자에 부딪히면, 파장이 짧은 빛인 파란색과 보라색이 더 많이 산란됩니다. 파란색과 보라색 빛이 사방으로 산란되어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우리는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 중의 분자들은 주로 짧은 파장의 빛인 파란색과 녹색을 많이 흡수하고, 빨간색을 상대적으로 적게 흡수합니다. 따라서, 파란색 빛이 주로 반사되어 우리가 하늘을 보면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햇빛이 대기권에서 산란되어 하늘이 파랗게 보입니다

    산란은 레일리 산란과 미 산란으로 나뉘는데 이는 매질의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됩니다

    이중 레일리 산란은 전자기파가 파장보다 매우 짧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현상으로 기체 , 투명한 액체 및 고체를 통과할때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보는 색은 빛을 반사되어서 흡수되지 않은 색을 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늘이 파란색을 띠는이유는 태양빛이 지구로 들어와서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은 대기중에 입자들에 의해서 산란이 되고 나머지 빛은 모두 흡수되어서라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5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는 가스 분자로 가득 채워져 있는데 이것이 태양의 백색광이 대기를 통과할 때 가스 분자에 흡수 되어 파란색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