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싹싹한크낙새154
싹싹한크낙새15423.12.06

한쪽 팔이 뒤로 안넘어가고 통증

나이
40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한쪽 팔이 뒤로 안넘어가고 통증이 있는데

이거 운동 부족인건지 갑자기 이런 증상이 생겼는데요

50견? 같은건지 이런 경우 재활의학과를 가야하나요 아니면 정형외과를 가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운동부족이라기보다는 어깨를 많이 사용하면서 염증이 생기는게 가장흔한 원인일거 같습니다. 일시적이라면 휴식하면서 어깨 부담을 줄이는게 중요하고 악화양상이라면 정형외과 진료 고려해야겠습니다.


    재활의학과는 진단을 다 받은후에 나중에 고려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어깨통증으로 인해 관절의 가동범위에도 문제가 생긴 상황이므로 정형외과를 방문하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가까운 곳을 방문해 진료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동결건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형외과를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동결견의 증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 번째로, 심한 통증 및 야간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통증은 다른 어깨 관절 질환에서도 관찰되며, 특이한 증상이 아닙니다. 두 번째로, 환자는 능동적이고 수동적인 관절 운동에 제한을 느낍니다. 초기에는 어깨를 안쪽으로 돌리는 것이 어렵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팔을 앞으로 들거나 밖으로 돌리는 것도 어려워집니다. 이로 인해 일상 생활에서 세수하기, 머리 감기, 옷 단추를 끼우는 등의 동작이 어려워집니다.

    동결견은 증상의 발현 기간과 양상에 따라 세 가지 단계로 구분됩니다. 첫 번째 단계는 '제1기(통증기)'로, 최초 증상 발현 후 약 3개월 동안 지속됩니다. 통증이 점차 증가하며 어깨를 움직이는 능동적 관절 운동에 제한이 생깁니다. 심지어 어깨를 움직이지 않을 때에도 통증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단계는 '제2기(동결기)'로, 3개월에서 12개월까지 지속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어깨를 가만히 두었을 때 통증이 완화되지만, 만성 통증과 함께 수동적인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됩니다. 마지막으로, '제3기'는 12개월에서 18개월 이상 지속되며, 통증은 아주 경미해지지만 관절 운동과 관련된 경우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 단계에서 환자는 심하게 제한된 어깨 관절 범위를 극복하려고 노력하며, 기간 말기에는 통증 없이도 관절 운동 범위가 늘어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완전한 운동 범위 회복은 어렵습니다.

    동결견의 치료 방법은 발생 원인에 따라 다양합니다. 먼저, 반복적인 어깨 움직임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소염제 복용, 냉찜질, 전기 자극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어깨 관절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힘줄의 석회화로 인한 동결견에는 냉찜질, 소염제 복용, 주사 치료 등이 필요하며, 통증이 완화되면 적절한 운동을 통해 관절 굳힘이 방지되어야 합니다. 관절 주머니의 유착으로 인한 경우에는 온열 요법, 어깨 운동, 목과 어깨의 근육을 강화하는 훈련, 특정 운동인 시계추 운동과 손가락 벽 기어오르기 운동이 효과적입니다.

    동결견은 치료가 가능하며, 정확한 진단과 꾸준한 치료를 통해 회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회복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환자는 꾸준한 노력과 치료 지침을 따를 필요가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아쉽지만 해당 단편적인 정보만 보고 오십견이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문제가 있는 것인지 감별할 수 없습니다. 증상이 있는 만큼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를 받아보실 필요가 있어 보이며, 정형외과가 적절한 진료과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신체진찰 없이 답변 드리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동결견이나 관절의 문제의 가능성이 생각되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정형외과 진료를 먼저 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

    오십견일 수도 있고 회전근개 관련 질환일 수도 있겠습니다

    정형외과를 방문해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