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가 암에 걸리면 대부분 죽는건가요?
우리가 세포가 암에 걸리는 그 세포가 죽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혹시나 죽지 않고 다른것으로 변하는것도 있는것도 있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세포가 암에 걸린다는 것은 대부분 죽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죽지 않고 정상적인 세포자멸 과정을 회피해 무한히 증식하고 주변 조직을 침범하는 등 비정상적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암세포는 이렇게 생존과 분열을 지속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우선 세포가 암에 걸린다고 해서 무조건 죽는건 아니랍니다
세포는 계속해서 암이 거리고 회복하고를 반복을 해요
이게 안죽고 유지가 되면서 암이 번지게 되는거죠 .
먼저 암세포는 대부분 죽지하고 다른 형태로 변이하거나 다른 세포의 특징을 획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이것이 암세포의 가장 큰 특징인 동시에 암 치료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일반적으로 암세포는 정상 세포와 달리 무한히 증식하며 분화가 정지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원래의 세포가 가진 기능을 잃고 무분별하게 증식하는 것이죠.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암세포가 가소성을 가지고 있어서 주변 환경이나 치료에 반응하여 다른 형태의 세포로 변환되거나, 심지어 정상 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획득하는 현상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또한 암세포 중에는 암 줄기세포라고 불리는 특별한 세포들이 존재하는데, 이 세포들은 일반적인 암세포와 달리 자가 재생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종류의 암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암 줄기세포는 마치 줄기세포처럼 다양한 형태의 암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죠.
요약하자면, 암세포는 단순히 죽지 않고 무한 증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과 치료에 반응하여 다른 형태의 세포로 변하거나, 심지어 줄기세포와 같은 능력을 갖춰 다양한 암세포를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세포가 암에 걸리면 대부분 스스로 죽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죽지 않고 끊임없이 증식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정상 세포는 손상되거나 노화되면 '세포자멸사(apoptosis)'라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사멸하지만, 암세포는 이 자멸사 과정을 회피하는 능력을 획득하여 무한정 증식하게 됩니다. 또한, 암세포는 유전자 변이를 통해 항암제에 내성을 가지거나, 면역체계의 공격을 회피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계속 변화하며 생존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암 치료가 복잡하고 어려운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