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포스트모더니즘이 전개하는 언어적 해체 과정에서 기호와 의미의 관계가 지속적으로 유예된다고 할 때, 이러한 차연의 개념이 라캉적 무의식의 구조와 어떤 방식으로 교차한다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포스트모더니즘은 기표와 기의의 관계를 해체하며 의미의 고정성을 부정하는데, 이는 라캉이 말하는 무의식의 언어적 작동 방식과도 유사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차연' 개념이 무의식의 결핍과 욕망 구조 속에서 어떤 위치를 점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햄버거왜이리맛나냐
    햄버거왜이리맛나냐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연 개념과 라캉의 무의식 구조는 기표와 의미의 지속적인 유예를 통해 교차하며, 이는 주체의 욕망이 항상 결핍 속에서 미끄러지는 과정과 연결됩니다. 데리다의 차연은 기표가 기의를 고정시키지 못하고 끊임없이 지연되며 새로운 기표로 미끄러지는 과정인데, 라캉의 무의식 역시 언어적으로 구조화되어 있고 욕망은 항상 상징계 내에서 다른 기표를 향해 이동하며 완전히 충족되지 않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즉, 차연의 논리는 라캉적 무의식에서 욕망이 근본적으로 충족될 수 없고, 상징적 질서 내에서 끝없이 미끄러진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가지며, 기표들의 연쇄 속에서 주체는 언제나 어떤 의미에 도달하기 전에 다른 기표를 찾아 헤매는 과정에 놓이게 됩니다. 이러한 점에서 차연은 무의식적 욕망의 구조적 결핍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기능하며, 의미가 끝없이 유예되는 언어적 해체 과정과 욕망의 끝없는 미끄러짐은 동일한 구조적 원리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