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아이의 의견을 들어서 함께 의사결정을 결정할 시기는 언제쯤 부터인가요?

아이를 어른 대하듯 존중해주라는 말을 들었는데요.

가족 간 여행지나 식사 메뉴 등을 정할 때, 어린 아이도 의사결정에 참여하면 좋을 것 같아서요.

몇 살 때부터 가볍게 의사결정에 참여시키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위글의의사결정은 6세부터

      조금더쉬운건4-5세부터하시면좋으니참고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만 3세부터 간단한 의사결정에 참여시킬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옷을 고를 때 원하는 옷을 고르게 하거나, 간식을 선택할 때 먹고 싶은 것을 고르게 하는 등의 방법입니다. 만 5세정도가 되면 대부분의 의사결정에 참여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족 여행지를 고를 때 함께 상의해서 결정하거나, 집안일을 분담할 때 각자 맡은 일을 스스로 결정하는 등의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하면서 의사를 존중해주는 시기는 이르면 이를 수록

      좋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부모와 대화를 자주 하면서 의견을 나눈 아이들의

      경우 성장하여서도 부모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을수 있다고

      합니다. 시기를 구체화하지 말고 아이와 대화가 가능한 시기부터 시작해보시길 바랍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대략 5세정도가 되면 참여하여 서로 정해보시는것도 좋을수있겠습니다.

      아이의 발달에 따라서 조금더 일찍해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의사결정 시기는

      아이가 어느 정도 언어적 소통이 가능하고 그 언어를 이해할 때 의사결정을 해주도록 해주세요.

      6~7세 정도면 언어적 소통이 원만하고 그 언어를 이해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아이에게 의사를 물어보고 아이의

      의사를 반영해 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의사소통이 가능한 시기부터 아이의 의견을 물어보시는 것이 좋은데 처음에는 2,3개의 선택지를 주고 그 안에서 고를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습니다.

      자율성을 존중해 주실 때 주의해야할 점은 아이의 선택이 최선의 선택이 아니더라도 아이가 스스로 깨달을 때까지 기다려주셔야한다는 것입니다. '이 선택으로 이런 결과가 있을 수 있다' 정도는 언급하시되 아이가 원한다면 굳이 막지는 마시고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아이 탓을 하거나 비난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결과를 떠나 스스로 결정하는 과정에서 자신감과 독립심을 키우게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