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3.11.15

사람에게 색맹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람은 보통 색을 구분할 수 있어서 다양한 색을 보는데요. 사람에 따라서는 색맹이라고 하여 색을 잘 못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면 왜 색맹이 생기는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색맹이 발생하는 요인은 다양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색맹은 유전적으로 발생하며 색맹의 주요 원인은 원뿔 세포 중 하나 이상의 유형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결함을 가지고 있거나 부족할 때 발생합니다.

    또한 후천적으로는 눈이나 뇌의 특정 부분에 손상이 발생하면 색상을 인식하는 능력이 손실될 수 있으며 당뇨병, 노인 황반변성, 다발성 경화증, 백내장, 녹내장 등의 질병도 색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색맹은 거의 선천적인 이유 때문입니다.

    색을 인식하는 인자 이상으로 색맹이나 색약이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색맹은 우리눈안에서 색을인지하는 세포인 원추세포 중 일부가 선천적으로 결여되거나 모자랄때 나타납니다.


    원추세포는 적, 녹, 청 색 세가지를 구분하는 세종류의 세포종이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에는 색을 구분하는 세종류의 원뿔 또는 원추세포가 존재하는데, 각각 빨강 초록 파랑을 인지합니다.

    이들 중 한가지색을 보는 세포가 결여되거나 부족하게되면 해당색을 보지못하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색맹은 주로 눈의 망막에 있는 색을 감지하는 세포인 콘 피츠의 돌연변이 또는 부정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돌연변이로 인해 색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색소체의 조작이 이상하게 됩니다.

    이러한 색맹은 주로 유전적인 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엑스 크로몰의 성경이 기여할 수 있습니다. 즉, X 크로몰의 적절한 복제를 보장하는 데 문제가 있는 경우 색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색맹은 남성에서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여성이 색맹이 되려면 두 개의 엑스 크로몰을 가진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남성보다는 덜 흔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색맹(색각 이상)이 있는 사람은 특정 색을 알아볼 수 없거나 특정한 색을 정상 색각을 가진 사람과 다른 농도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색맹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적록 색맹)를 가진 사람은 진한/파스텔 녹색 또는 빨간색 또는 두 가지 색 모두를 구별하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교통 신호등의 경우, 적록 색맹을 가진 사람은 신호등 색깔 이외의 지시로 안내할 수 있습니다.


    변화가 미묘한 경우가 자주 있으며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색맹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합니다.


    색맹은 보통 출생 시 존재하고 거의 항상 X-연관 열성 유전자로 인해 생기며 이는 영향받은 거의 모든 사람이 남성임을 의미합니다. 대개 영향을 받지 않는 여성은 색맹 유전자를 자신의 자녀에게 유전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선천적 색맹은 유전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눈의 시각세포에 있는 색소의 결함으로 인해 특정 색깔을 구분하지 못하게 됩니다.

    후천적 색맹은 눈이나 뇌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눈의 망막에 있는 색소세포가 손상되거나, 뇌의 시각 중추가 손상되면 특정 색깔을 구분하지 못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색맹은 눈의 시세포에 있는 색소 세포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색소 세포는 빛을 받아들여 색을 인식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세포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면 색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색을 인지하는 방법은 눈으로 들어온 빛을 눈에 있는 시각 세포가 인지를 해서 뇌로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색을 인지하게 되는데 눈에 있는 시각 세포가 특정 색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면 뇌로 신호를 보낼 수가 없기 때문에 우리는 그 색을 인지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색맹은 사람이 색을 구분하고 인식하는 능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색맹의 주된 이유는 유전적인 요인에 있습니다.

    원추세포라는 세포는 눈에 존재하며 이 세포는 다양한 색상을 감지하여 뇌로 전달합니다. 그러나 색맹의 경우 원추세포 중 하나 이상이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아 특정한 색상을 구분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X염색체에 위치한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서 발생합니다. 남성은 X염색체를 하나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색맹이 되기 위해서는 한 개의 X염색체에 변이가 생겨야 합니다. 반면 여성은 X염색체를 두 개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개의 변이로는 색맹이 되지 않습니다.

    색맹은 선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후천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부 충격이나 화학 물질 등에 의해 눈이 손상되면 원추세포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색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눈의 노화로 인해도 색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을 고려하여 색맹이 발생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적록 색맹은 빨간색과 녹색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여자보다 남자에게서 훨씬 높은 비율로 나타납니다. 적록 색맹이 남자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색맹 유전자가 X염색체 위에 있기 때문입니다. X염색체는 성염색체인데, 여성은 XX로 2개의 X염색체를, 남성은 XY로 1개의 X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성이 색맹이 되려면 X염색체 2개가 모두 열성 유전자를 가져야 합니다. 두 개의 X염색체 중 한 개라도 우성 유전자가 있다면 정상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남성은 X염색체를 하나만 가지고 있습니다. 어머니에게서 받은 X염색체가 열성 유전자이면 바로 색맹이 되고, 우성 유전자이면 정상을 나타냅니다. 확률적으로 X염색체를 하나만 가진 남성에게 색맹이 더 많이 나오게 됩니다. 이처럼 성에 따라 달라지는 유전을 반성 유전이라고 합니다.

    출처: 교육부 블로그 - 왜 여자보다 남자에게 적록 색맹이 많을까?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유전적 원인: 색맹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X연관된 선천적 색맹은 X염색체에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하며, 남성에서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는 적색감각을 제대로 감지하는 데 필요한 색맹 관련 유전자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2. 후천적 원인: 일부 사람들은 후천적으로 색맹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눈의 구조적인 문제, 안과 질환, 노화 등으로 인한 것입니다. 눈의 망막이나 망막을 이루는 셀들이 색상을 구분하는 데 필요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때 색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색맹은 적색, 녹색, 청색 세 가지의 원추 세포 가운데 어느 한 색의 원추 세포가 결손되어서 없기 때문에 두 가지 색만으로 모든 색깔을 보는 경우를 말합니다.

    적색의 원추세포가 없으면 적색맹(유병률 1.03%)이라고 하는데, 적색맹은 적색을 전혀 보지 못 하고 적색이나 녹색을 볼 때 녹색 원추세포만이 자극되므로 적색과 녹색을 같은 색으로 보게 됩니다.

    또 녹색 원추 세포가 없으면 녹색맹(유병률 1.28%)이라고 하는데, 녹색맹은 녹색을 전혀 느끼지 못 하고 적색이나 녹색을 볼 때에 적색 원추세포만 자극되므로 적색과 녹색을 같은 색으로 보게 됩니다.

    따라서 적색맹이나 녹색맹 모두 적색과 녹색을 구별하지 못하고 같은 색으로 보기 때문에 적색맹과 녹색맹 모두 적색맹과 녹색맹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적녹색맹’이라고 부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