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단금형설계 인장봉 서포트핀 기장 설계하는 방법이 어떻게 되나요?
3단금형 설계 할때 인장봉과 서포트핀 길이 설정을 어떻게 해야하나요? 스톱볼트 풀러볼트 스프링 등 3단금형 설계 하는 방법 전반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3단 금형에서는 게이트 플레이트와 코어 플레이트 별도로 동작하게 됩니다. 이를 인장봉과 서포트핀 그리고 스프링이 제어하게되죠. 이 때 인장봉은 코어 플레이트의 이동 거리 대비 10mm 에서 15mm 정도 짧게 설계를 하고 서포트 핀의 경우 인장봉의 길이와 같거나 아주 미세하게 짧게 설계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3단 금형 설계 인장봉과 서포트핀 기장, 그리고 스톱 볼트와 스프링 선정에 대해 설명해 드립니다.
인장봉 : 1차 형개시 런너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당장 런너를 분리합니다. 런너가 충분히 떨어질수있도록 이동 거리르 고려해 기장을 설계합니다.
서포트핀(취출봉) : 제품을 밀어냅니다. 런너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먼저 열린후 제품이 취출되도록, 인장봉의 이동 거리보다 길게 설계해야 합니다.
스톱볼트 : 런너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이동 거리를 제한합니다. 필요한 이동 거리에 맞춰 길이를 선정합니다.
스플이 : 플레이트들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돕습니다. 금형 크기와 필요한 복귀력을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이부품들은 3단 금형의 자동 분리 기능을 위해 유기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취출봉은 런너 길이 보다 약20미리 길게 설계하며 삼단봉은 취출봉보다 10미리 더 길게 설계합니다.
이유는 1차 형개 취출판과 고정판이 먼저 분리되며 이에 따라 삼단봉이 더 길어야 2차 형개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서포트핀은 러너 드롭 위나 유동에 방해가 없는 위치하며 핀 홈은 핀 단면적과 같거나 더 커야 합니다.